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페트병, 투명 옷으로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페트병 라벨, PVC 포장재 사용에도 변화 지난해 12월 25일부터 시행되는 자원재활용법 개정에 따라 색깔이 있는 페트병뿐만 아니라, 일반 접착제를 사용하는 페트병 라벨,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든 포장재도 사용할 수 없게 됐어요. 일반 접착제는 페트병에서 말끔히 제거하기 어려워요. 그래서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개화 시기까지 비슷해요. 이 때문에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지요.꽃잎이 5개인 부용 꽃은 지름이 약 10~13cm로, 무궁화보다 크기가 더 커요. 하지만 부용은 1~3m 높이로 자라, 3m가량 크는 무궁화에 비해 키가 작은 편이지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둘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더 명확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 동화마을에 무슨일이? 헨젤과 그레텔 마녀에게 잡히다! 오늘 오전에 일어난 일이에요. 배가 고팠던 저희 남매는 어디선가 풍기는 달콤한 냄새를 따 ... 다시 어린이들을 괴롭히지 않겠단 안도감에 가벼운 발걸음으로 사무실로 돌아갔답니다.“개코! 우린 이만 돌아가도 되겠어. 후후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두루미, 초보 아빠 두일이 피가 나도 알을 품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정성으로 새끼들은 눈에 보일 만큼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답니다. ※ 필자소개 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 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 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신경이 이 자극을 대뇌로 전달해 우리는 맛을 느끼는 거랍니다. 사람의 혀에는 약 5천여 개의 미뢰가 있어요. 미뢰는 대표적으로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등의 맛을 느낄 수 있지요. 맛은 미뢰로만 느끼는 건 아니에요. 사람은 음식을 씹는 느낌, 코로 맡는 향기, 눈으로 보는 음식의 모양 등 ... ...
- [질문하면 답해 ZOOM] 껌 씹을 때 찬물을 마시면 왜 딱딱해지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밑에서 침을 분비해 혀 밑으로 내보내지요. 턱밑샘은 호두알 정도의 크기고, 혀밑샘은 세 개의 침샘 중 가장 작답니다.침은 99%가 물이에요. 나머지 1%에 아밀레이스, 라이소자임 등이 들어있어요. 입으로 들어온 음식이 치아에 의해 부서지면 소화효소인 아밀레이스가 음식물 속 전분을 분해해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있어요. 바로 ‘양자’를 이용하는 거예요. 양자란 물질을 이루는 최소 단위로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특징이 있어요. 하나의 광자, 전자, 원자도 양자지요. 양자는 0이면서 1인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요. 한 번 관측하면 0이나 1로 결정돼 버려 되돌릴 수 없어요. 또, 두 양자가 멀리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드로잉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덜기 위해 드로잉머신을 개발해 왔어요.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 수학자 휴 블랙번이 처음 개발했다고 알려진 ‘하모노그래프’는 1890년대에 큰 인기를 끌었어요. 줄의 끝에 달린 무게추가 진자 운동을 하면, 기계와 연결된 펜이나 바늘이 ‘리사주 곡선’이라 불리는 선을 그려요. 무게추의 속도 ... ...
- [과학뉴스] 떫은맛 감지하는 인공 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수 있는 거예요.고현협 교수는 “저렴하고 유연한 재료로 제작이 간편한 작은 인공 혀를 개발했다”며 “인공 혀는 식품, 주류 산업뿐만 아니라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소감을 밝혔답니다. 용어정리* 탄닌 : 식물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성분으로 포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특징을 전해줘요. 사람의 유전물질을 조사하는 게놈* 프로젝트 결과, 사람에게는 약 2만 개의 유전자가 있다는 것이 2013년 밝혀졌어요.이처럼 많은 유전자는 우리의 세포핵 속 ‘DNA’라고 불리는 유전 물질에 차곡차곡 쌓여있어요. DNA는 길게 늘이면 약 2m에 달하는 가닥으로 평소에는 두 가닥이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