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사막과 해변의 총면적을 기준으로 구한 모래알 수는 100해 개입니다. 정리하면 우리가 볼 수 있는 최소 별의 수가 사막과 해변의 총 모래알 수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겁니다. 실제로는 별의 수가 더 많을 가능성이 높은 셈이죠 ... ...
- 빙하 감시단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리듐 통신 위성으로 외부와 소통은 가능하지만, 인터넷 이용료가 너무 비싸고 느려서 개인적 용도로는 텍스트 위주의 이메일 정도만 사용할 수 있었어요. 당연히 스마트폰은 안 됐고요. 덕분에(?) 스웨이츠 빙하에선 일상과 단절된 채 한 달을 지냈어요. 몇몇 동료는 해방감에 좋아했지만, 전 두 달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본 입자.표준 모형 이론에 따르면, 힉스는 모든 입자에게 질량을 부여한다. ※필자소개. 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한다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목록의 최종본에 수록했지요.이 은하는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커요. 약 1조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보다 두 배 많은 정도예요. 큰 은하답게 중력이 강해 주변에 있는 작은 은하들을 끌어당기고 있답니다 ... ...
- [수학뉴스] 코로나19 검사 비용 줄이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검체를 섞어 검사하는 겁니다. 그러면 27번의 검사를 9번으로 줄여 코로나19에 감염된 개인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르완다의 항공기 승객 중에서 감염자를 파악하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럭비팀 선수들의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정기적으로 진단하는데 시범 도입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반도체의 불량률이 1%인 것과 0.1%, 0.01%인 것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어요. 수백만, 수천만 개 중에 1%와 0.01%는 매우 큰 차이니까요. 그래서 수학자와 공학자, 과학자가 함께 연구해 불량률을 줄이는 연구를 해요. 기업에 소속된 수학자가 연구하기도 하고, 기업과 대학 교수가 함께 연구하기도 하죠 ... ...
- [기획] 놓치고 가면 섭섭한 2020 수학 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최고의 학술지로 꼽히는 ‘수학연보’에 발표됐는데요,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11개의 교차점을 가진 3차원의 ‘콘웨이 매듭’은 4차원의 매듭을 절단한 것이 아님을 증명한 것입니다. 이 연구는 4차원에서의 매듭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성과라고 하네요. 매듭이론은 DNA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커진답니다. 일정한 면적 안에서 무한한 둘레를 갖다니! 정말 신기하죠? 제가 소개한 프랙털 외에도 다양한 모양의 프랙털을 만들 수 있어요. 이번 크리스마스엔 캐롤을 들으며 나만의 프랙털 트리를 만들어보세요 ...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나왔다. 디미트라 아트리 미국 뉴욕대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한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극자외선에 의해 손실되는 대기량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이 내뿜는 플레어(고에너지 입자의 폭발)와 중심별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 ...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용해 만들어 이름도 ‘라즈포켓파이’입니다. 라즈베리 파이는 아두이노 보드와 함께 개발 보드의 저가화와 대중화를 이끈 주역입니다. 종훈 님은 MOM으로 선정된 이후 이 작품을 해체했다고 합니다. 단점들을 계속 보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연말시상식을 위해 재조립해 갖고 나온 것이 3세대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