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기록할 수 있는 바이오칩을 심고, 금화조가 노래를 하는 동안 HVC를 구성하는 45~70여 개의 투사 뉴런(projection neuron)의 활성도를 기록했다. 투사 뉴런은 축삭돌기를 길게 뻗어 멀리 떨어진 뇌 영역의 뉴런과 시냅스를 만들어 신경망을 형성한다.기록된 자료를 토대로 뉴런이 어떤 순서로 발화하는지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주기율표를 만들어보자!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중·고등학생 누구나• 1개의 작품 당 1~4명까지 팀으로 참가 가능• 한 학교에서 15개의 작품 이상 출품 시 단체상 수상 가능■ 응모 기준주기율표 원소의 특징을 자유롭게 표현• 그림, 포스터, 포토샵, 동영상, 실물 모형 제작 등형식 제한 없음 (그림의 경우 A4용지 크기 이상)• 주기율표 20번까지는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2020년 피인용률 우수 연구자 24명을 발표했고, 여기에는 균일한 나노입자 대량 합성법을 개발한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포함돼 화제를 모았으나, 24명 모두 올해 수상자에 들지 못했다. 펜들버리 수석부석연구원은 “우리가 뽑은 후보자는 꼭 올해가 아니라도 어느 시점엔 노벨상을 받을 수 있는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인식하고 있는 각도와 실제 바라보는 각도의 오차를 추정했다.그 다음 지구로 고개를 돌려 지상과 바다를 촬영했다. 해양탑재체의 경우 촬영한 해안선과 실제 해안선의 위치를 비교해 최종 기하보정이 이뤄진다. 목표 지역을 12구역으로 나눠 찍는 해양탑재체의 특성상, 12구역의 사진이 정확히 ...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빨간색(수컷)인 북부홍관조를 40일 이상 관찰해 국제학술지 ‘윌슨조류학저널’에 공개하기도 했다.doi: 10.1676/14-025.1그렇다면 자웅모자이크 돌연변이가 인간에서도 나타날 수 있을까. 답은 ‘불가능’이다. 인간의 성별이 결정되는 방식은 곤충이나 조류와 다르기 때문이다. 2004년 영국 에든버러대 ... ...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않다는 것이다.최근에는 위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에서 풀리는 ‘장용성 캡슐’ 기술도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유산균 제품에는 잘 활용되지 않는다. 장용성 캡슐을 제작할 때 습도나 열을 가하게 되는데, 이것이 유산균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말이죠.재료는 찰흙입니다. 틀까지 만들어서 크기와 모양이 같은 찰흙 덩어리를 114개나 찍어냈습니다. 입사각을 바꿔가며 계속 던져 볼 심산이었죠. 분명 물수제비 기계가 처음부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는 않을 테니까요. 참고로 여러 번 물속에 던질 거라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찰흙을 ... ...
- [독일유학일기] 교육의 기회는 동등 학비 부담없는 독일과학동아 l2020년 11호
- 16개 주 전체를 마음껏 다닐 수 있는 기차표, 교통비 명목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도 대개 학생식당, 공연장 등 행정 운영비로 쓰여 사실상 등록금을 내지 않는 것과 다름없다.독일 등록금이 ‘사실상 공짜’가 된 데는 독일 대학생들의 입김도 한 몫 했다. 한 예로 2017년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 ... ...
- [과학뉴스] 밝혀진 X자 은하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사막에 있는 미어캣 전파망원경 덕분이에요. 지름 13.5m의 거대한 전파 안테나 64개가 함께 우주를 관측해요. 천체에서 온 전파를 분석해 천체의 위치, 크기 등을 알아내지요. 미어캣 전파망원경이 관측한 영상을 합치면 지름 8km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처럼 높은 해상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답니다 ...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줄어도, 빗해파리 성체 개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반면 새끼들의 개체수는 9월에 폭발적으로 늘었다가 10월에 급격히 줄어들었지요. 새끼들이 태어난 이후 빗해파리 성체와 새끼의 수가 완전히 반비례한 거예요. 연구진은 성체 빗해파리의 뱃속에서 새끼 빗해파리(아래 사진 빨간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