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줄어도, 빗해파리 성체
개
체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반면 새끼들의
개
체수는 9월에 폭발적으로 늘었다가 10월에 급격히 줄어들었지요. 새끼들이 태어난 이후 빗해파리 성체와 새끼의 수가 완전히 반비례한 거예요. 연구진은 성체 빗해파리의 뱃속에서 새끼 빗해파리(아래 사진 빨간 ... ...
[특집] 모든 물체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나누는 방법입니다. 우선 평면에 고르게 점을 찍고, 그 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점 2
개
를 모두 연결합니다. 그리고 점을 이은 선들의 수직이등분선을 그어 평면을 나누는 방식이죠. 이 방법을 이용하면 삼각형 사이의 주름을 효율적으로 그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수직이등분선이란 주어진 선분을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
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고안한 일반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전
개
됐습니다. 그래서 펜로즈 교수도 같은 맥락에서 연구를 시작하지만 문제가 풀리지 않자 도형의 연결관계를 다루는 수학 분야인 ‘위상수학’을 일반상대성이론에 접목했습니다.그 결과 특정 질량을 넘는 우주의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과학자들은 이
개
념을 사용해 라디오나 TV를 발명할 수 있었답니다. 2020년 10월 21일에
개
봉한 영화 ‘테슬라’는 전류 전쟁 이후의 테슬라의 모습을 중점적으로 그립니다. 테슬라는 위대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발명가들에게 특허권을 뺏기거나, 발명품을 상품화하지 못해 많이 알려지지 ... ...
[퍼즐라이프] 무엇이 다를까? 칠교와 도형분할 역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고안한 ‘샘 로이드의 역설적 분할’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정사각형을 분할한 4
개
의 조각을 배치만 다르게 했을 뿐인데 면적이 늘었다 줄었다 합니다. 이런 종류를 ‘도형 분할 역설’이라고 한답니다. 칠교판 역설이 미세한 ‘길이 차이’ 때문에 발생했다면 이 현상의 원인은 미세한 ... ...
대세 게임 ‘폴 가이즈’ 재미 비결은 ‘F=ma’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그렇지 못한 경우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연출된다. 대표적인 ‘옥의 티’가 2014년에
개
봉한 영화 ‘겨울왕국’에 나온다. 주인공인 엘사가 머리카락을 풀며 노래하는 장면에서 머리카락이 뒤에서 앞으로 넘어오는 순간을 자세히 보면, 머리카락이 겨드랑이를 그대로 관통해 앞쪽으로 이동한다.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수학이 제일 힘들었던 제 경험이 앱을 만드는 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셈이죠.Q 추가
개
발 계획은 있나요?작년에는 애니메이션 자습서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사용자가 각 수학 단계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습니다. 조만간 원격 학습 관리 기능을 추가해 학생과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빨간색(수컷)인 북부홍관조를 40일 이상 관찰해 국제학술지 ‘윌슨조류학저널’에 공
개
하기도 했다.doi: 10.1676/14-025.1그렇다면 자웅모자이크 돌연변이가 인간에서도 나타날 수 있을까. 답은 ‘불가능’이다. 인간의 성별이 결정되는 방식은 곤충이나 조류와 다르기 때문이다. 2004년 영국 에든버러대 ... ...
우리는 균이 필요하다..유산균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않다는 것이다.최근에는 위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에서 풀리는 ‘장용성 캡슐’ 기술도
개
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유산균 제품에는 잘 활용되지 않는다. 장용성 캡슐을 제작할 때 습도나 열을 가하게 되는데, 이것이 유산균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유였다. 무용론자들은 재발사 준비에 들어가는 인력과 장비를 우리나라가 자체적으로
개
발하는 발사체에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사 연기가 발사 실패보다 더 나쁘다는 다소 이해할 수 없는 질책도 나왔다.그러나 이 모든 압박을 견디고 나로호는 2013년 1월 30일 다시 한 번 발사대에 섰다.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