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해석학 난제들이 풀리기를 기대해봅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에요. 기초과학, 공학 등에 걸친 전 과학기술 분야에 주는 상이라 전체 281명의 수상자 가운데 수학자는 10명밖에 되지 않아요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복잡한 흑점들이 태양의 적도 표면에 생긴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약 5분 동안 두 개의 크고 밝은 빛이 흑점 무리를 빠르게 가로질러 움직이면서 점점 사라지는 걸 관찰했습니다. 며칠 뒤 태양 표면과 지구 자기장 변화를 함께 기록하며 연구했던 영국의 큐 천문대 동료들을 찾아간 캐링턴은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같은 완전수인지 확인하면서 친화수를 찾습니다. ● 도전! 오일러 프로젝트 21번 문제 뽀개기 앞서 익힌 파이썬 명령어를 이용해 수학 문제를 풀어봅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는 코드를 잘만 짜면 1분 이내에 답을 얻을 수 있으니, 직접 한번 실행해보세요! 실제로 친화수는 소설 ‘박사가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들었어요. 이후 매장을 나오기 전 선택한 상품 중 컵라면은 제자리에 두었지요. 총 두 개의 상품을 들고 출구 앞에 서자 문이 저절로 열렸고, 가게 밖으로 나왔어요. 순간, ‘계산도 안 하고 가게를 나왔다고 생각하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 들 정도였지요. 앱을 살펴봐도 상품을 구매했다는 내용이 ... ...
- [만화뉴스] 땅에 사는 곤충들, 사라지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정책으로 매년 1.08% 늘어나는 것을 알아냈지요.연구팀은 1925년부터 2018년 사이 전 세계 1676개의 지역에서 1만 종의 곤충을 관찰한 자료를 분석했어요. 이처럼 오랜 기간 넓은 지역에서 대규모의 곤충을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지요. 연구팀은 “서식지의 파괴가 육상 곤충의 감소와 관련이 ...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구: 행성’에 발표한 연구 논문 모음집에 따르면, 현재까지 관측된 돌조각의 수는 668개에 달한다. 돌조각들은 초속 20cm에서 3m의 속도로 베누 주위를 돌고 있다. doi: 10.1029/2020JE006549돌조각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한 논문은 그 보다 한달 전인 8월 같은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바 있다. 미국 ... ...
- [한페이지 뉴스]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공동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HST)과 초거대망원경(VLT)으로 초거대 은하단 MACSJ1206 등 3개의 은하단을 관측하던 중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수십 배가량 강한 중력렌즈 현상을 발견했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초거대 은하단 사진에는 은하단이 일반적으로 만들어내는 중력렌즈 현상뿐만 아니라,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난제로 남아있다. 이는 필자의 최근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새로운 클라우드 보안 기술과 개념은 지금 이 순간에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다수는 학계에서만 통용된다. 클라우드는 앞으로 더 많이 쓰이고, 많은 정보를 다룰 것이기에 보안 기술의 허점을 보완, 극복해 클라우드를 현실에서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안진현 성균관대 의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인간 헤르페스 바이러스-5 유전체에 263개의 4중나선 구조 서열이 존재하고, 이들 중 일부가 바이러스의 전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371/journal.ppat.1007334연구결과, 감염과 연관된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DNA 구역에 4중나선 구조가 존재하면 해당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꽤어려워요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화학 분야의 연구자라면 누구나 소원하는 기술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나노입자를 원자 수 ...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서 나노 재료 실시간 분석 기법 개발, 액상 투과전자현미경 개발, 3차원 재료 구조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다. jungwonpark@snu.ac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