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밤이 매우 짧게 된다. 백야(white night)라는 말은 바로 이것을 가리킨다. 노태우 대통령이
겨울
에 모스크바를 방문하였던 당시 그 곳 시간으로 오후 4~5시였는데도 불구하고 밤과 같이 어두웠던 까닭을 이제는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림 1, 2, 3)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3월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측자가 ... ...
레이첼 칼슨 '고요한 봄'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금년
겨울
은 이상난동이라고 할 만큼 따뜻했는데, 그래서인지 봄봄도 좀 일찍 찾아드는 것 같다. '봄'하면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 무엇일까? 대개는 들판에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싹과 하늘하늘 날아다니는 노랑나비, 그리고 개나리꽃 진달리꽃에 귀가 따갑도록 지저귀는 새소리가 아닐까?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쌓아놓은 기본적 소양이 '귀인들'을 만나면서 활짝 피어나기 시작했다. 1976년
겨울
연세대 옥상에는 아마추어 망원경 전시회가 열렸다. 여기에 참가한 성인들은 고작해야 열명 내외였다. 망원경 할아버지 나은선씨를 비롯 김성수 윤실 윤태석 변상식씨 등 현재 아마추어천문가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 ...
인조광선으로 마음의 병을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그 호르몬에 어느 만큼 영향을 미치는가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자외선이
겨울
만 되면 맥이 빠지는 사람에게 효과적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파리의 성 안네병원에서 지난 2년간 적용한 결과에 따른다면).SAD환자에게 적용된 인조태양광선의 조도는 높아야 2천5백럭스(lux)로 인체에 거의 ... ...
계절시차 적응 못해 봄되면 온몸이 나른 몸속시계가 수면을 조절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발생시키는데 얼마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사람의 몸도 마찬가지로 여름이나
겨울
을 잘 보내려면 약간의 적응기를 거쳐야 한다. 그 적응의 준비단계로서 봄에 졸음이 많아지는 것이다.몸속시계는 시상하부의 안에 있는 시교차상핵(視交叉上核)이라는 부분에 위치한다. 이 부분은 코의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곰의 동굴'로 부르기도 하였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큰곰(큰곰자리)이 이 곳에서
겨울
잠을 자고 새봄이 되어 밖으로 나왔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외에도 '화환의 고리' '눈동자의 선' 등 원과 반원으로 이루어진 많은 이름들이 이 별자리에 전해져 오고 있다.이 별자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별은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한 탐사대는 세척의 통통배를 나눠타고 낙동강하구 탐사에 나섰다. 우리나라 최대
겨울
철새 도래지인 낙동강하구는 87년 하구언 댐공사 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우선 철새의 숫자가 크게 줄었으며 앞에서 지적한 대로 바다철새종이 많이 발견됐다.을숙도를 한바퀴 돈 후 을숙도 남단에서 강자도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거대한 밀림을 연상시킨다. 북쪽하늘엔 덩치 큰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가 기지개를 켜며
겨울
잠에서 깨어나고 있고, 그 바로 옆엔 곰의 포효에 놀란 기린이 몸을 감추려한다. 사자자리 위엔 갓 태어난 작은 사자가 귀여운 몸짓을 하며 그 옆에 살쾡이가 살금살금 먹이를 찾고 있다.서쪽 하늘엔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갖고 무엇인가 해야 한다는 꿈을 키우고 있었다.그리고 그 꿈은 74년 12월의 어느 추운
겨울
날, '퍼플러일렉트로닉스' 1월호의 표지에 실린 880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용한 알태어(Altair) 8800이라는 최초의 마이크로 컴퓨터 사진을 게이츠가 접하면서 이루어지게 된다.그들은 막 등장한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수 있는데 댕기가 없는 점이 도감과 달라 긴가민가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와서 쇠백로는
겨울
에 댕기가 없어진다는 것을 알고 무릎을 쳤습니다. 사실 지금까지는 현지 자료가 전무하다시피 했거든요.박창재 저도 영산호에서 철새를 자주 보는데 체계적인 조사를 해보겠습니다. 무등산에서도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