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기름(0.8)보다 크기 때문이다. 레고 조각의 밀도는 기름보다 작으므로 기름 위에 뜨고 나사
못
은 물보다 밀도가 커서 물 아래로 가라앉는다. 기름의 점성으로 인해 얼음이 기름 위에 뜨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막대로 밀어 넣어 본다. 한번 기름 아래로 내려간 얼음은 다시 위로 올라오지 않는다.②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연필로 글씨를 쓸 수 있는 것, 달리는 자동차를 브레이크를 이용해 멈출 수 있는 것, 벽에
못
을 박을 수 있는 것 등이 모두 마찰력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마찰력은 접촉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와 고무타이어 사이의 마찰력이 강철과 강철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테크놀러지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빈약한 줄거리와 탄탄하지
못
한 과학적 설정으로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것이 영화를 본 사람들의 중평이다.그러나 조지 루카스는 전혀 걱정하지 않는 것 같다. 평론가들의 악평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은 어린 시절 자신들을 열광케 했던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대해 ‘거시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눈은 사라지고 있다.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
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말이다.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인가. 단백질합성효소 네트워크 연구단이 현재 시도하고 있는 내용을 보면 해답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세포 안에서는 유전자의 정보에 맞춰 몸에 필요한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별들 중 21개 별은 행성을 갖고 있지 않음이 확인됐다. 그러나 관측장비가 정밀하지
못
해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을 뿐, 이들이 아주 작은 행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이 밖에 10개 이상의 별에도 행성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10여개 별 주위에는 목성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3. 보험계리사 김송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된다. 또 연체이자를 보면 ‘어떻게 이 값이 나왔을까’를 생각한다. 정말 ‘직업은
못
말린다’는 말이 실감난다.2백명밖에 없는 인기직업국내에서 약 2백여 명의 계리사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아직 보험계리사라는 직업은 낯설다. 하지만 작년과 같은 취업난 속에서도 40명의 보험계리사들은 100%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피게니아의 희생’과 같이 밋밋하고 성격 없는 공간이 아니었다. 사람들은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의 뒤로부터 벽에 이르는 공간에서 수십m나 되는 깊이를 느꼈다. 원근법이 발명되고 나서야 비로소 미술가들은 현실과 똑 같은 공간을 화면에 옮겨 놓을 수가 있었던 것이다.그러나 원근법으로 ... ...
한국야쿠르트 이은선 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움직이는 회사의 홍보맨인 셈. 국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건강하지
못
해서는 말이 안된다며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주기 위해서라도 자신의 건강은 스스로 지켜야한다는 것. 이 덕택에 그는 40년간의 직장생활에서 단 한번도 결근하지 않았다 ... ...
새옷 입은 고속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크게 내리는 관례를 보면 가격적인 면에서도 당장 제품을 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
하다.속도는 어떨까? 현재 가장 많이 팔리는 프로세서는 300-400MHz 대의 제품들. 그러나 가을 이후에는 최고 600MHz에 이르는 고속제품들이 선보일 것이다. 현재 인텔은 펜티엄III의 뒤를 이어 최대 800MHz의 속도를 낼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이 짓고 홍난파(1891-1941)가 작사한 ‘과학의 노래’를 연주했다.“새
못
되야 저 하늘 날지
못
노라/그 옛날에 우리는 탄식했으나/프로페라 요란히 도는 오늘날/우리들은 맘대로 하늘을 나네/(후렴)과학 과학 네 힘의 높고 큼이여/간데마다 진리를 캐고야 마네”19일 밤 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열린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