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공학자들이 모인 학회에서 열렸어요. 학회의 이름은 ‘지구방위학회’! SF영화 속에서나 등장하는 이름 같지만, 과학자들은 꽤 진지했지요. 이런 학회가 왜 열렸을까요? 소행성 충돌 막는 ‘지구방위학회’ 2013년 2월 15일 아침,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서 햇빛보다 3배 밝은 섬광이 번쩍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갯벌과 갯벌 식물들이 탄소를 흡수하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식물의 호흡이나 퇴적물 속에서 진행되는 환원작용 등에서는 오히려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따라서 탄소 흡수과정과 더불어 갯벌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에 대한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다. 또 국가나 지역마다 갯벌의 특성이 다른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깊은 관심을 보였다. 무카이 박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교육은 우리가 꿈을 마음속에 그리게 만들고, 그 꿈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믿습니다(I strongly believe that education enables us to envision and to pursue our dreams).”그는 항상 이렇게 말하곤 했다. 그의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왜소은하를 찾아 나설 시민과학자 여러분, 지금 바로 왜소은하 프로젝트 홈페이지에 접속해 주세요! ● "시민들이 찾은 왜소은하로 우리은하의 기원을 연구할 거에요!" 안녕하세요! 저는 과학동아천문대와 왜소은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지웅배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 박사과정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증명됐던 힉스 입자를 검출한 세계적인 연구소예요. 힉스 입자를 검출한 대형강입자가속기(LHC)를 보는 게 제 주된 일과였죠. 둘레가 27km나 되는 원형 터널인 LHC는 기계적인 아름다움이 있거든요. 마치 하나의 작품같았습니다. LHC를 앞에 두고 저와 친하게 지냈던 헬가 팀코 박사와 대화한 시간도 무척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만들어 지운 뒤, 어떤 블록이 나오더라도 블록을 놓을 자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무작위 속 전략을 찾아라 1010!은 게임 오버 되기 전까지 얻은 점수를 비교해 순위를 매깁니다. 점수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얻습니다. 첫 번째는 블록을배치할 때 그 블록을 이루는 정사각형의 수만큼 점수를 얻는 ... ...
- [과학뉴스] 화성 분화구 속에 ‘염분 호수’ 있었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화성을 탐사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 로봇(로버)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소금 호수의 흔적을 발견했다.윌리엄 라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박사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큐리오시티가 화성의 게일 크레이터에 있는 샤프산을 오르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샤프산은 수십억 년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오는 오차 범위를 말한다. 빔 방법을 쓰는 팀은 미국표준기술연구소(NIST)와 일본양성자가속기연구소(J-PARC)다. 이 중 NIST가 878초보다 평균수명이 10초 더 길다고 발표해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들이 2013년 공식적으로 발표한 중성자의 평균수명은 887.7±1.2±1.9초다. 뒤에 따라오는 1.2초는 통계적인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시간이었다.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다. 2014년 바닷물 속 나트륨을 활용한 해수전지를 개발했고,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녹내장 해결의 실마리 찾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나타냅니다.카리키노 교수는 “수학적 도구가 의학적인 데이터와 시너지를 내면 눈 속 혈류의 흐름 양상 같은 현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