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유발할 위험도 없을텐데 말이다. 불행하게도 아직까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밝혀
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프리온 질병에 걸린 쥐가 낮과 밤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쥐는 주로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인데, 변형 프리온에 감염된 쥐는 낮에도 활발한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지난번 다윈의 식탁에서 공룡 멸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6천5백만년 전에 운석이 떨어
지지
않았다면 생명의 역사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상상해보자고 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 우리 인간들이 이렇게 런던에 모일 일도 없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거대 규모의 진화는 소규모 진화의 연장선상에 있지 ... ...
동식물 1백만종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에 해당하는 동식물을 지구상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된다. 너무 충격적이어서 쉽게 믿어
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얘기는 과학전문지 ‘네이처’의 표지를 장식하면서 발표된 논문 내용이다. 생물이 사라지는 원인은 흔히 지구온난화라고도 불리는 기후변화 때문이다.영국 리즈대 크리스 토마스 ... ...
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혁명 유비쿼터스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살기 좋은 첨단의 미래를 약속하는 단어인 것은 같지만 막상 머리 속에서는 그려
지지
않는다. 실제 유비쿼터스에 대한 이해는 나라마다 혹은 사람마다 제각각인 것도 사실이다. 유비쿼터스의 어제와 오늘을 통해 미래의 집과 사무실, 거리를 미리 가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조용한 일상의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은 가족내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유전적 관련성이 밝혀
지지
않았다. 지난해 과학자들은 특정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정신분열증, 우울증과 같은 유전적 정신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점을 밝혀냈다. 3위는 지구온난화 연구에 돌아갔다.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의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주라는 영화필름을 특이점까지 거꾸로 돌리다보면 현재의 과학으로는 더이상 감아
지지
않는 시점이 나타난다”고 말한다. 그 시점이 ${10}^{-43}$초. 때문에 현재 우리는 0-${10}^{-43}$초 동안 발생한 우주 탄생의 최초 사건에 대해 모른다.왜 이런 구간이 등장하는 것일까. 호킹과 펜로즈의 특이점은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목표로하는 선샤인(sunshine) 계획과 대조적인 명칭으로 불려져 눈에 두드러
지지
는 않지만, 최첨단 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별 예산은 연간 수천만 엔에서 1억수천만엔 규모과망간산 칼륨(KMnO₄)이나 중크롬산칼륨(K₂Cr₂${O}_{7}$)과 같은 산화제의 용액이 유기물의 산화에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성장하고 체내 여러 대사과정을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성분이다. 하지만 몸에서 만들어
지지
않기 때문에 꼭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필수지방산은 다중불포화지방산으로 2종이 있다. 오메가-6 계열인 리놀레산(LA)과 오메가-3 계열인 알파-리놀렌산(LNA)이 그것이다. 이들이 부족하면 습진성 피부염, ... ...
3 더위가 사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경우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 장기간 고온에 노출돼 체온조절이 제대로 이뤄
지지
않으면 열에 약한 단백질로 만들어진 효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세포막이 파괴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가장 흔한 질병은 일사병이다. 그밖에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직접 따라다니며 그들이 내는 소리나 몸짓을 기록하는 연구 방식은 학계에서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게다가 구달 박사는 곰비에서 만난 침팬지들에게 일일이 이름을 지어주었다. 당시 과학자들은 동물에게 번호를 붙여 구분했다. 대학 교육도 받지 않은 채 아프리카 정글에 뛰어든 그가 이런 학계의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