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소피아 로렌이 주연한 영화 ‘해바라기’에 나오는 이 장면은 영화팬들의 기억속에 지워
지지
않고 남아있다.1970년 개봉된 이 영화는 당시 옛소련에 속했던 크로아티아에서 촬영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실 해바라기는 소련의 국화이기도 하다. 소련 사람들이 사랑했던 해바라기는 1980년대 후반 그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상태 각 전자의 스핀양자수는 1/2이므로 전전자계의 스핀양자수 S=1을 만족시키기 위해 짝
지지
않은 두 개의 천자가 다른 궤도로 들어가야 한다변수의 차수가 3차인 항을 포함하는 정방정식(整方程式)삼차신경에 어떤 장애가 있어 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비되는 것 독립적으로 오는 것은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있었다.완전히 분리되지 못한 수정란결합쌍생아가 태어나는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
지지
않았다. 수정이 이뤄진 후 13-15일경 수정란이 똑같이 둘로 나뉘어 각각 하나의 개체로 형성되면 일란성쌍생아가 된다. 그러나 수정란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부분이 붙은채로 발육하면 신체의 일부분이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훨씬 오래 전에 목성형 행성이 태양 같은 별 근처에서 형성됐다고 하니 쉽게 믿어
지지
않는다.최고령 행성이 발견된 구상성단 M4는 안타레스와 함께 전갈의 심장부를 이루고 있다. 전갈의 나이가 최고령 행성의 나이인 1백30억살이라고 하면 억지일까.NASA가 발표한 최고령 행성의 상상도를 보자. 그림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냉동과정에서 너무 쉽게 손상을 입는다. 이들이 손상되면 정상적인 세포분열이 이뤄
지지
않기 때문에 냉동과정에서 반드시 보호해야 한다. 하지만 이 과정이 몹시 까다롭다.이런 이유들로 인해 그동안 난자의 냉동보존은 어렵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1986년 첸 박사가 완만동결법을 이용해 난자를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토사 때문에 만들어진 일시적인 갯벌일 뿐이며 방조제가 완성되면 갯벌이 더이상 만들어
지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갯벌이 계속 생성된다고 인정하더라도 사라지는 갯벌의 3%도 채 안된다고 말한다.해양생태계의 보고로서 갯벌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모두가 인정한다. 그러나 그 갯벌이 얼만큼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말한다.그는 무슨 일이든 다른 것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고 단독적으로 이뤄
지지
않는다고 항상 생각을 해왔다. 즉 암이라는 질병이 암세포만의 증식이 아니라 다른 것, 즉 주변의 혈관생성과도 깊이 관련돼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김 교수는 이러한 상호관계의 사고방식이 앞으로 생명과학의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방향과 세기, 모래의 공급량 등에 따라 그 모양이 다르지만 대부분은 일정한 형태가 갖춰
지지
않은 모래언덕이다.다량의 모래가 계속 공급되고 한쪽 방향으로 바람이 계속 부는 지역에서는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두개의 긴 꼬리를 가진 초승달 모양의 바르한형 사구(barchan dune)가 형성되기도 한다. 또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속에서 계속해서 기계적으로 운동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더이상 쪼개
지지
않는 알갱이 따위는 존재하지 않고 전 우주는 연속적인 물질로 차있으며 자연에 진공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그후 그리스의 사상을 지배했으며 ‘자연은 진공을 싫어한다’는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결국 무중력 상태에서는 표면장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막을 쉽게 만들 수 있고 잘 부서
지지
도 않게 되는 것이다. 이 우연한 발견은 유체역학을 연구하는데 무중력 실험이 아주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지상에서의 유체는 중력의 영향 때문에 매우 이해하기 어렵지만 무중력 상태에서는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