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6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정도의 ‘포스포린’이 된다. 김근수 포스텍 교수(왼쪽)와 논문 1저자인 김지민 포스텍 연구원. - 포스텍 제공 김근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팀과 최형준, 이연진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차세대 액정장치를 개발했다. 송장근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마이크로
미터
(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 액체방울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기술을 TV나 컴퓨터 모니터 같은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면 기존 10분의 1의 전압으로도 구동할 수 ... ...
“계절이 바뀌면 색깔도 달라진다”
2015.08.05
생각하는 시점에 신호를 보내도록 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겨울에는 여름보다 1.5나노
미터
(nm·1nm는 10억분의 1m) 긴 파장의 색을 노란색이라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겨울에는 더 붉은 빛이 도는 색을 노란색이라고 판단한 셈이다. 녹색의 경우 여름보다 0.5nm 짧은 파장을 녹색으로 ... ...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
2015.08.05
기판에 유기물 층을 형성해 빛이 나도록 만드는데 성공했다. 굵기 역시 최소 수십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가늘게 뽑아낼 수 있다. 옷감을 짜는 일반 실보다 훨씬 가늘게 만들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걸로 보인다. 최 교수는 “직물의 구성 요소인 섬유 ... ...
머리카락 굵기 10만 분의 1 간격 금속센서 개발
2015.08.03
입자들을 자가배열시킨 뒤 껍질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1㎚(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초미세간극을 가진 금속 구조체를 넓은 면적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금속 구조체는 물리적·광학적 성질이 우수해 태양전지, 광촉매 분야는 물론 질병진단센서 등으로도 쓰일 수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재개했다. 수년간의 다양한 시도 끝에 연구팀은 2003년 혈관의 내벽에서 지름이 50마이크로
미터
가 채 안 되는 ‘가늘고 연약하며 투명한 조직’을 발견했다. 그리고 형광실체현미경이라는 자체 제작한 현미경으로 해부한 쥐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봉한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의 핵을 관찰하는데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0개 정도의 용어를 최종 확정했다. ‘이미 우리말에 녹아있는 한자어는 그대로 쓴다’, ‘
미터
와 같은 국제 표준이나 우리말에 없는 용어는 외래어 그대로 쓴다’ 등의 사정 원칙도 이 시기에 확립됐다. - 제3기(1984년~현재) 제2기를 거치며 학술 용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작업이 부작용이 크다는 ... ...
부작용 없는 임플란트 재료 나온다
2015.07.28
이식되면 주변 세포들이 ‘초점접착역(Focal Adhesion)’의 형태로 재료에 붙는다. 50~200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이 영역을 통해 세포는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을 감지하고, 인공재료가 실제 세포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만든다. 연구팀은 생체재료 표면에 나노 크기의 구멍을 내고 그 ... ...
투명하고 쭉쭉 늘어나는 히터 나왔다
2015.07.26
때문에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중요한 요소다. 연구진은 에탄올 용액 속에 나노
미터
(nm·10억 분의 1m) 단위의 작은 은나노와이어를 넣은 뒤 필터로 여과시켜 균일하게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의 은나노와이어를 얻어냈다. 이를 인체에 무해한 고무 재질의 기판에 붙이자 기판이 은나노와이어에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않는 물질 이론을 연구 중이다. 최근 실험 결과 복잡한 구조의 금속 박막을 20~3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두께로 표면에 바르면 반사율이 5%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빛을 모조리 흡수하는 표면을 만들고 빛에너지를 손실 없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면 태양전지 효율을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