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년째 혁명 진행 중인 초전도 기술
2015.04.05
입사한 저자의 연구 주제는 원래 초전도가 아니었다. 박사학위 과정에서
반도체
소재인 탄화규소를 연구하던 중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 돌덩이에서 초전도 현상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충격을 받아 1년간 진행하던 연구를 포기하고 초전도의 세계에 발을 내딛으면서 초전도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 ...
몸속에서 완전 분해되는 전자소자 개발
2015.04.05
전자소자를 제작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체내에서 흡수되는 금속 호일에 초박막
반도체
인 실리콘, 절연체인 실리콘 옥사이드, 그리고 금속물질인 마그네슘, 철, 몰리브덴, 텅스텐 등을 이용해 생체 전자소자를 만들었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금속은 기존 관상동맥 시술이나 뼈 고정용으로 ... ...
버려지는 실리콘이 전극 소재로 환골탈태!
2015.03.30
반도체
나 태양전지용 실리콘 웨이퍼를 만들고 나오는 폐기물(슬러지)은 연간 1만 t을 넘는다. 폐기물의 주성분인 실리콘도 폐기물과 함께 모두 버려지는 것이다. 게다가 폐기물에는 제품의 재료가 될 수 있는 순도 99.99999999% 이상의 초고순도 실리콘 나노입자도 30%나 섞여 있다. 최근 장희동 ... ...
오호~ 빛-열 이용해 나노
반도체
도핑
2015.03.30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ACS 나노’ 2월 19일자에 실렸다. 나노
반도체
를 빛과 열에너지를 이용해 도핑하는 과정.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양자점 LED 디스플레이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자점 LED는 아주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낸다. 기존 방식보다 색을 재현하는 능력이 훨씬 우수하고 장시간 구동도 가능하지만 소비전력이 높아서 발광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 양자점 LED에서 주로 양극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있게 돼 입체적인 회로를 자유롭게 그릴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더 발전시키면
반도체
제조공정 이외에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패치형 약물 전달체, 물과 기름에 젖지 않는 표면 등 다양한 첨단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김 교수는 “이 기술은 3차원의 미세패턴을 ... ...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개발
2015.03.25
종잇장처럼 얇은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황화몰리브덴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사용될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했다. 연구진은 국내외에 이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4일자에 게재됐다.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표면을 폭이 10nm 정도인 좁은 띠 형태로 만든 것으로 그래핀 자체가 도체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제작방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 그래핀을 플라스마 가스와 반응시켜 그래핀 나노리본을 얻어내는 데 ... ...
엄청 강한 자석은 소리와 열을 휘어버린다?
2015.03.24
음향양자 간의 산란을 강화함해 열 전달을 막는 장애물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반도체
의 온도를 영하 263도 미만으로 낮춘 후 해당 현상을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자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음향양자를 자성을 이용해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크고 독특한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갖고 있어 차세대
반도체
용 광소자로 주로 활용된다.
반도체
나노선의 물리적 특성은 두께에 좌우되지만, 나노선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물줄기가 작은 물방울로 변하는 현상을 나노선 합성에 활용해 합성하는 나노선의 두께를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