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
2015.01.30
말했다. 인간 뇌의 커넥톰은 언제쯤 완성될까. 그는 “뇌 과학이 ‘황의 법칙’(메모리
반도체
용량이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것)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한다면 20년 안에 인간 뇌의 커넥톰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커넥톰이 완성되면 자폐증이나 조현병(정신분열)처럼 뇌 구조로는 ... ...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공장에서 대량 생산이 까다로웠던 접거나 휘어지는 전자기판 제조, 4인치 크기 대형
반도체
틀 제작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핀을 원하는 기판으로 옮기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습식전사법은 전사 과정 중에 그래핀이 물리적으로 손상되고 표면이 오염 될 수 있다.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컴퓨터) 출시가 활발한 가운데 게나 새우껍질에 함유된 ‘키토산’을 이용한 새로운
반도체
제조 기술이 개발됐다. 이장식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키토산을 이용해 USB 메모리스틱이나 플래시메모리에 들어가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를 만들었다고 12일 밝혔다. 생체 물질인 만큼 ... ...
이번엔 무슨 그래핀? ‘포스트 그래핀’!
2015.01.09
그래핀의 이러한 한계 때문에 최근에는 그래핀과 물리적 특성은 유사하면서도
반도체
특성이 뛰어난 2차원 금속 칼코겐이 각광 받고 있지만 대량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여러 층으로 이뤄진 2차원 물질과 서로 다른 크기의 분자 2종류를 용액에 넣고 섞는 단순한 방법으로 ... ...
LED가 조명인줄만 아셨던 분, 이것 좀 보세요!
2015.01.09
파장의 빛을 보내는 것이 광 치료의 핵심이다.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하는
반도체
의 종류에 따라 내보내는 빛의 파장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광 치료의 주요 광원으로 쓰인다. 실제로 황달에 걸린 신생아에게 450nm 파장의 LED 빛을 8일 동안 쪼였더니 50%가 치유됐으며,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
2015.01.07
1월 수상자로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조 교수는
반도체
나노구조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만 빛을 전달하는 다이오드, 초고속 단일 광자 발생기, 형광체 없이 다양한 빛을 내는 발광소자 등 기존 방법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신개념 광원과 광제어 기술을 독창적으로 ... ...
‘표준硏 명장’에 이상화·임인태 책임연구기술원 선정
2015.01.07
수준으로 향상시킨 공을 인정받았다. 진공기술센터 임인태 책임연구기술원은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 웨이퍼 및 진공소재 등을 평가하기 위한 탈기체 시험 장치를 주도적으로 개발했다. 또 밀폐 부품의 내부압력 및 부피측정·기밀시험 측정기술을 산업체와 공유함으로써 산업체의 기술경쟁력과 ... ...
미래형 초정밀
반도체
개발위한 이론적 기틀 닦았다
2015.01.05
겪게 되는 시행착오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다국적
반도체
기업인 인텔의 초병렬 컴퓨팅 지원사업(IPCC)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며 연구성과는 나노과학 분야에서 국제 학술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신년사로 본 2015년 출연硏 화두
2015.01.04
핵심가치로 내 걸고 전문연구소 그룹을 한층 확대 개편할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차세대
반도체
, 로봇개발을 위한 산하 연구소를 신설한다. 또 25개 출연연이 하나로 모인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융합연구단’ 사업에도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이병권 KIST 원장은 2일 신년회에서 “체계뿐 아니라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제공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산 인공와우 기술은 계속 한 단계씩 향상되고 있다. 서울대는
반도체
미세 공정을 이용한 폴리머 기반의 초저가 인공와우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혁신적인 단가 인하가 가능한 폴리머 기반의 인공와우 장치는 현재 프로토타입이 완성된 상태이며, 전극 및 시스템 패키지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