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42건 검색되었습니다.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성능을 가진
반도체
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실리콘 소재를 대신해 차세대
반도체
로 쓸 수 있는 소재를 찾는 데 성공했다. KIST 연구팀이 개발한 흑린 트랜지스터의 모습.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원국 박사와 송용원 박사 공동 연구팀은 흑린(black phosphorus)으로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브루스 컬럼비아대 교수가 1983년과 1984년 잇달아 ‘화학물리학저널’에 아주 작은
반도체
결정을 발표했고, 이후 마크 리드 예일대 교수가 퀀텀닷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퀀텀닷은 실제로 수백~수천 개의 원자가 뭉친 덩어리지만 지름이 1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양자 구속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평면구조로 돌아가려는 습성이 강해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먼저 고출력
반도체
소자에 흔히 쓰이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3차원 그래핀의 주형이 되는 탄소구조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탄소구조체를 가열해 실리콘을 선택적으로 제거해 탄소원자만 남은 입체 그래핀을 완성했다. 이 방법을 ... ...
회로 두께 딱 1nm, 나노
반도체
나오나
2014.11.05
조준형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진은 일렬로 정렬한 인듐(In) 원자에
반도체
성질을 부여해 나노미터 크기의 전자소자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고 물리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RL)’ 3일자에 발표했다. 인듐을 나열하면 폭이 1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가 채 ... ...
반도체
로 쓸 수 있는 그래핀 나노리본 세계 최초 개발
2014.10.30
높였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번에 제작한 나노리본의 사이즈가 매우 작은 만큼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나노리본의 테두리 모양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았다. 그래핀 나노리본은 테두리 모양에 따라 안락의자형과 지그재그형으로 ... ...
이산화탄소를 에너지로 사용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10.29
다시 탄소화합물로 변환하는 연구가 개발돼 각광을 받고 있다. 빛에 의해 활성화 되는
반도체
촉매를 이용해 환원시킨 이산화탄소를 우리가 필요로 하는 형태의 에너지 또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재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인공광합성'이라고 부른다. 인공광합성은 식물의 광합성보다 효율면에서 ... ...
겹겹이 쌓아 유기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2014.10.27
발전 효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열 안정성이 우수한 유기
반도체
고분자를 설계해 열처리 이후에도 최고 효율 6.81%를 낼 수 있는 하부 셀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고효율의 상부 셀을 확보하면 12%이상의 발전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황 교수는 “상하부 셀 각각이 ... ...
플라스틱
반도체
개발 성공
2014.10.22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p형
반도체
의 성능과 비슷한 수준의 n형
반도체
를 개발한 만큼 둘을 접합한다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태양전지, 센서 등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9월 2 ... ...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반도체
기술을 보면, 뛰어난
반도체
를 만들기 위한 제조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반도체
공정에 필수인 에칭이나 화학공정 등이 그렇지 않나. 최근 인기가 높은 3D프린터는 이미 제조업분야에서 20년 전부터 애용돼 왔다. 처음에는 플라스틱으로만 제조가 가능했지만 오늘날엔 금속으로도 ... ...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최대 4배 이상 높였다고 21일 밝혔다. 이황화몰리브덴은 얇아질수록 세게 발광하는 2차원
반도체
물질로 디스플레이나 광전자 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여러 층으로 쌓을 경우 빛의 흡수와 방출이 저해되면서 발광 효율이 떨어져 디스플레이용․LED 개발로 이어지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