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뉴스
"
반도체
"(으)로 총 2,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브리핑] 기초과학연구원(IBS) 외
2014.09.05
최대 2년 동안 연구비를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와 소자의 특성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양자역학 기반의 슈뢰딩거 방정식을 계산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
단점 투성이 유기
반도체
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깊숙이 잘 침투해 미세한 양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조 교수는 “기존 유기
반도체
를 사용하던 소재에 바로 적용해 고성능과 안정성을 확인한다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나 전자 피부, 고성능 센서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고효율 바이오-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지금까지 태양전지는
반도체
를 만들 때 주로 쓰이는 실리콘으로 만들었다. 흙이나 돌 속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게 장점이지만 정제 처리가 까다로워 가격이 비쌌다. 그간 실리콘 대신 식물의 광합성 물질인 엽록소를 이용하려는 시도도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제한되고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2차원
반도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을 수직으로 쌓아 p-n 접합면의 두께를 기존 대비 100분의 1로 줄였다. 그 결과 전자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최소화돼 속도는 물론 효율 또한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바이러스 감염 공포, 벗어날 방법은 이것 뿐!
2014.08.22
최고 수준이라는 것. 정 단장은 “혈당측정기의 센서를 로봇으로 정확하게 찍어내는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했다”고 말했다. 혈당뿐 아니라 혈액 속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양을 한꺼번에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크기의 진단 키트도 개발을 끝냈다. 당뇨 합병증으로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나노튜브, 식물처럼 기른다
2014.08.10
등 나노입자로 이뤄진 기판을 써 왔다. 산체즈-발렌시아 박사는 “이 전구체를 이용하면
반도체
를 생산하듯 탄소 나노튜브를 대량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푸른 색 컴퓨터 칩이 장식했다. 컴퓨터 칩 위에 노란 물질이 붙어 있는데, ... ...
입는 컴퓨터 상용화 성큼… 트랜지스터 성능 700배 높였다
2014.08.10
트랜지스터와 성능이 3배 높은 유기태양전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 박사는 “유기
반도체
의 화학구조 조절을 이용해 트랜지스터나 태양전지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진행됐으나 원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며 “본 연구로 기초적인 매커니즘이 밝혀져 응용목적에 따라 ... ...
설탕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8.06
만드는 기술을 ‘결정화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 결정화 기술을 제약‧정밀화학‧
반도체
‧식품‧환경‧전지 등 다양한 산업의 원천기술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결정화 원리가 적용되는 분야. (a)상전이 에너지에 의한 에너지 절약의 원리, (b)정밀화학 산업에서 활용되는 ... ...
태양전지, 이젠 창문에 붙여봐
과학동아
l
2014.08.03
0%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태양전지는 햇빛을 전기로 바꿔주는
반도체
로, 보통 태양광 발전소에서 쓰는 짙푸른 패널을 말한다. 하지만 이들 패널은 두껍고 무거운 것이 단점이다. 이에 비해 유기 태양전지는 얇고 투명해 건물 외벽이나 유리창 등에 붙여도 미관을 해치지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연구논문 2편에 동시에 이름 올려 한편 두 연구팀에서 개발한 플라스틱이 실제
반도체
로 쓰일 수 있게 만든 연구팀이 있다. 정대성 중앙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두 플라스틱 소재의 특성을 분석하는 일을 맡았다. 정 교수팀은 손 박사팀이 만든 소재의 장단점을 파악한 결과 광센서로 사용하는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