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우! 스마트폰 속도 20배 빨라지는 기술 개발
2015.07.08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연구진은 스마트폰에 왈디오 기술을 적용할 경우 배터리가
분리
되는 스마트폰에 비해서는 14배, 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에 비해서는 속도가 20배 향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원 교수는 “현재 스마트폰 운영체제가 발전 과정을 겪으면서 여러 곳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 ...
천식, 관절염 치료용 신규물질 AKD 기술이전
2015.07.02
아주약품과 생명연, 동국대의 첫 글자를 딴 것으로 국내 자생식물인 때죽나무로부터
분리
한 화합물을 모티브로 새롭게 제조한 물질이다. AKD는 염증 반응 시 염증 반응이 계속 일어나도록 자극하는 신호물질인 질산화물(NO)과 면역물질(IL-6)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다. 이경 동국대 약대 교수는 “천식, ... ...
“저는 빛만 있으면 암세포를 부숴 버립니다”
2015.06.30
고분자 광감작제를 제작했다. 이 물질은 암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치료제와 자동으로
분리
되기 때문에 치료제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고 치료제가 깊은 암 조직까지 들어갈 수 있게 돕는다. 연구진이 개발한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해 흑색종을 앓고 있는 생쥐에게 유전자치료제(p53 유전자)를 투여한 ... ...
CEO 생일날 폭발한 스페이스X 우주화물선
동아일보
l
2015.06.30
보도했다. 이날 발사된 로켓은 빠른 속도로 상승하다가 고도 43km 지점에서 1단 로켓이
분리
되기 전 공중 분해됐고, 잔해는 대서양에 떨어졌다. 스페이스X는 억만장자이자 미국의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테슬러모터스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날 44번째 생일을 맞은 ... ...
진드기 기르는 남자 vs. 바퀴벌레 기르는 남자
2015.06.25
유발하는 만큼 연구실에서는 직접 두 생물에서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을
분리
정제한 뒤 연구에 쓴다. 또 살비제(진드기를 죽이는 약) 후보물질을 찾고 살비 능력을 평가하는 연구에는 진드기를 이용하고, 바퀴벌레로는 살충제와 기피제 시료물질 검정시험을 진행 중이다. 다른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기능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후보 물질을 합성한 뒤 바이러스에서
분리
한 단백질 분해효소와 이 물질이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실험했다. 그 결과 후보 물질의 양이 충분해서 모든 효소에 달라붙었을 때는 분해효소가 단백질에 달라붙는 기능이 완벽하게 차단됐다. 하지만 ... ...
영화 ‘감기’처럼… 항체 생긴 완치환자의 혈장을 투여
동아일보
l
2015.06.15
사람은 총 2명. 이 중 한 명은 11일 퇴원한 공군 원사(45)다. 완치된 환자의 피에서 혈장을
분리
해 수혈한 것은 이미 한 번 메르스를 물리친 만큼 메르스에 대항할 수 있는 항체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항체란 몸속에 침투한 바이러스를 찾아내 면역체계가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도록 하는 ... ...
“지구, 안녕”… 7개월만에 깨어난 필레
동아일보
l
2015.06.15
초속 38km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 하지만 혜성 23km 상공에서 로제타호와
분리
된 필레가 혜성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생겼다. 혜성 표면에 필레를 고정할 작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두 번 튕겨 나온 뒤 햇빛이 닿지 않는 그늘 지역에 불시착한 것. 이곳의 온도는 영하 160도로 ... ...
암 유발하는 ‘염색체 파열’은 어떻게 일어나나
2015.06.14
‘네이처’ 2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단일 세포 유전자 분석법’을 통해 유전자
분리
과정을 살펴봤다. 정상적인 사람은 두 가닥으로 구성된 염색체를 엄마와 아빠에게 각각 물려받아 자신의 염색체를 만든다. 엄마 염색체에서 한 가닥, 아빠 염색체에서 한 가닥을 결합하는 것이 정상적인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실렸다. 서아프리카에서 빠르게 확산 중인 바이러스가 10년 전쯤 유행한 바이러스에서
분리
돼 빠르게 변이를 일으켰다는 내용이었다. 셰이크 후마르 칸 박사. - Pardis Sabeti 제공 바이러스의 정체를 이처럼 빨리 확인할 수 있었던 건 시에라리온 현지의 의료진과 과학자들의 노력 덕분이다. 셰이크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