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 속지 않으려면 과학을 읽어라”
2015.04.14
과학자는 자연을, 인문학자는 사람을 공부한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사람과 자연을
분리
한 이분법적인 사고가 오랫동안 지속됐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 교수는 “자연을 이해하는 것이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양의 7주기설, 동양의 음양오행설 등은 수메르 사람들이 해, ... ...
55cm 물체도 식별…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향해 솟구쳐 올랐다. 발사 14분 43초 후 아라비아반도 남부 537km 상공에서 발사체와
분리
한 후, 오전 7시 39분경 남극 트롤 우주기지를 통해 통신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활용센터는 “인공위성 생존에 필요한 가장 중요한 조건인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아리랑 3A호 발사 동영상
2015.03.26
아리랑 3A호는 발사후 14분 43초 경 아라비아반도 남부 537㎞ 상공에서 드네프르 발사체와
분리
됐으며 잠시 후 지상국에 첫 신호를 보내는 데도 성공했다. 항우연은 오전 3시 39분 33초(한국시간 오전 7시 39분 33초) 노르웨이의 KSAT사가 운영하는 남극 트롤기지를 통해 통신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남극 트롤 지상국 교신 성공(3보)
2015.03.26
항우연)은 아리랑 3A호가 발사 893초 후 537km 상공에서 발사체에서
분리
되며 위성
분리
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곧 이어 7시 39분 33초 남극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을 시도해 위성이 살아 있음을 일차적으로 확인했다. 발사 1시간 27분 뒤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드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위성의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위성
분리
성공…첫 발사 성패 확인은 87분후(2보)
2015.03.26
발사됐다. 아리랑 3A호는 발사 893초 후 537km 상공에서 발사체에서
분리
되며 위성
분리
에 성공했다. 아리랑 3A호는 발사 32분 후 남극 트롤 지상국에서 첫 교신을 시도한다. 발사의 성패를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시점은 발사 87분 후로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과의 교신에서 태양전지판이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주입했다. 이 세포를 면역결핍 생쥐의 뇌에 주입해 뇌암을 형성킨 뒤 쥐의 암세포를
분리
해 검사한 결과 종양혈관세포가 암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사실을 확인했다. - 고려대 ... ...
뇌 연구 통합해 ‘뇌 백과’ 만든다
2015.03.19
못하는’ 분자적 수준의 연구와 ‘숲만 보고 나무는 보지 못하는’ 뇌 구조 연구가 서로
분리
돼 있었다. 또 연구기관마다 서로 어떤 연구를 하는지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다. 뇌 백과란 말 그대로 백과사전처럼 뇌에 관한 모든 것을 정리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뇌 연구 발전을 위한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배아 화석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이 화석은 세포의 분화된 형태와 성세포-체세포
분리
, 세포사멸 등 배아발생이 확실한 장면들을 담고 있다고. 3_분화가 더 진행된 배아 화석이 발견되면서 2011년 반박에 재반박을 한 논문이 2014년 발표됐다. 그러나 배아 안에 작은 세포로 분열한 덩어리들 ... ...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움직여야 해요. 그래서 로버의 몸을 두 개로
분리
하는 방법을 생각해냈지요. 두 개로
분리
된 몸체가 최대 30°까지 구부러지기 때문에 울퉁불퉁한 표면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자유자재로 달릴 수 있거든요.” 이러한 구조는 이우섭 박사님이 평소 연구하시던 ‘롭해즈’에서 영감을 받은 거라고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
막 만들어져
2015.03.11
만든 것이다. 김 교수는 “합성 고분자를 습한 곳에 두는 것만으로 대면적의 고분자
분리
막을 제작할 수 있다”며 “컴퓨터 냉각장치처럼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에서 전기를 넣으면 열을 떨어뜨리는 소자로 응용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