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볼라 임상실험 서두른다
과학동아
l
2015.02.16
최근 의료진 감염이 눈에 띄게 줄어 일반 국민도 포함시켰다. 시에라리온은 단계별로
분리
해서 진행한다. 참가자를 두 집단으로 나눠 백신 사용 집단의 감염률이 떨어지면 백신 사용을 점차 늘린다. 이중맹검법에 비해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윤리적으로는 더 좋다. 기니는 천연두를 박멸하는 데 ... ...
서울서도 AI… 설 대이동 앞두고 방역 비상
동아일보
l
2015.02.09
관계자는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7일 오후 늦게 (시료에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분리
됐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검출된 AI 바이러스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H5N8형’이다. 아직 인체 감염 사례는 없다. 서울시는 AI 감염 분변을 채집한 중랑천 용비교(성동구) 등 ... ...
개에서 AI 바이러스 검출, 폐사한 오리 먹었다가 코로 들어갔을것으로 추정
동아닷컴
l
2015.02.03
경남 고성군 소재 육용오리 농가에서 사육 중인 개 비강(콧속)에서 AI 바이러스(H5N8)가
분리
됐다. 해당 농가는 육용오리에 대한 도축 출하 전 검사에서 AI 바이러스가 확인된 곳이다. 농장 내 사육 중인 개 3마리 중 1마리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 검역본부는 나머지 개 사이에서 접촉에 의한 ... ...
1800대 1 경쟁률 뚫고 비목나무, 미역취 당선
2015.01.27
식물로부터
분리
된 곤충 유충호르몬 대항물질들의 구조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특정 해충을 선별해서 잡을 수 있는 물질탐색기술을 개발했다. 향후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해충별 맞춤 친환경 농약 개발이 기대된다. 오현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팀은 서울대 ... ...
블록은 이런 데도 쓸 수 있답니다
2015.01.26
국내 연구진이 해수담수화 기술에 쓰이는
분리
막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재 해수담수화 기술로는 바닷물을
분리
막에 투과시켜 ... 균일하지 않지만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로
분리
막을 제작하면 표면이 균일한
분리
막(아래 사진)을 제작할 수 있다. - 고려대 제공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랩온어디스크를 활용해 인체에 무해한 수용액을 커피나 음료에 넣어 카페인
분리
에 성공했어요. 카페인오렌지를 활용해 카페인 농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됐죠. 이 카페인오렌지를 통해 청소년들이 카페인 섭취를 줄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국제학술지에 편집위원으로 선임되다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인류의 탄생 시점은 600만~700만 년 전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인류와 침팬지가
분리
되기 전에 살던 공동 조상이거나, 아예 다른 유인원 계통에 속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인류의 기원은 보다 최근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요. 이제 가장 최근 등장한 세 번째 후보를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그 유명한 ‘슈뢰딩거 고양이’의 역설이다. 코펜하겐 해석이 우주를 두 세계로
분리
해놓고 한숨 돌리는 사이에, 슈뢰딩거가 두 세계를 연결하는 방법을 찾은 것이다. 스티븐 호킹은 누군가 슈뢰딩거 고양이 이야기를 꺼내면 총으로 쏴버리고 싶은 기분이 든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정말 더러운 ... ...
스페이스X, 10일 ‘로켓 재활용’ 발사 첫 도전
2015.01.09
관련 연구를 진행해왔다. 스페이스X의 계획대로라면 팰컨9의 1단 로켓은 상공 80km에서
분리
된 뒤 엔진 9개 중 3개에 다시 불을 붙이고 상단에 날개를 펼친 뒤 마치 후진주차하듯 지상으로 내려오게 된다. 시속 4600km로 추락하던 로켓은 착륙 지점에 다다를 때쯤에는 시속 7.2km까지 속도를 줄인다.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된다. 호주 연구팀이 주도하고 8개국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양이 400만 년 전 염소와
분리
돼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진화해 왔다고 지난해 6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2003년 완성된 인간게놈프로젝트(HGP)처럼 양의 유전체를 분석해 알아낸 결과다. 연구팀은 “오늘날 의류로 흔히 쓰이는 양털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