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32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구조 예측 AI 구글·페이스북 경쟁...'알파폴드' 대항마 'ESM폴드'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충분한 강점으로 작용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버르크하드 로스트 독일 뮌헨공대 컴퓨터
공학
및 컴퓨터생물학과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이 더 단순하고 저렴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줬다"고 말했다. 딥마인드는 당장 ESM폴드가 만든 단백질 구조를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할 계획은 없지만 ... ...
녹고 있는 빙하를 다시 얼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현상을 이용하는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는 안동준 화공생명
공학
과 교수팀이 김병수 연세대 화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얼음 성장을 조절할 수 있는 결빙제어 소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일자 온라인판에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개발됐다. 포스텍은 김동표 화학
공학
과 교수와 류정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폐목을 수소와 바닐린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바닐린은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합물이다. 수소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지구 표면의 7 ... ...
"장기모사칩 한계 극복"...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고승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기존 장기모사칩 제작 공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고승환 서울대 기계
공학
부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1월 수상자로 고승환 교수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은 조수복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박사후연구원팀이 국제 정밀의료 인공지능(AI) 경진대회인 '마이크로바이옴 드림 챌린지'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고 1일 밝혔다. 이 대회는 의생명 분야의 여러 ... ...
세 가지 정보 동시에 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맞춤형 VR 수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메타버스 강의 환경 구현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
공학
과‧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단일 구조체에 세 가지 정보를 동시에 저장하는 메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메타표면으로 만들어진 이 디스플레이는 편광에 따라 각기 다른 이미지를 보여준다. 사용자에 ... ...
[과기원은 지금]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 포스텍서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공개됐다. ■ 김유식 임성갑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이윤종 분당서울대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와 함께 희귀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쉐그렌 증후군 유발 인자를 찾았다고 31일 밝혔다. 쉐그렌 증후군은 눈물샘 및 ... ...
[과학게시판] ETRI, 로봇학술대회 2개 부문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인식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1일 미국전기전자
공학
회(IEEE)가 진행한 세계최대 로봇학술대회 ‘IROS 2022’에서 보조 로봇의 행동인식과 제스쳐 인식 2개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개발한 기술은 고도화를 통해 제조나 재난, 국방, 물류 등 분야에서 ... ...
좁은 곳서 발생한 이태원 참사..."몰린 인파, 유체처럼 움직였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10.31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에드윈 갈레아 영국 그리니치대
공학
및 과학과 교수(화재안전
공학
그룹 리더)는 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압사사고가 발생했던 2015년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해 분석한 결과 사람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 ...
그래핀 10만층 쌓은 단결정 흑연 만들어..."완벽 수준 갖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30
고정력이 약해 쉽게 으스러지는 문제가 존재했다. 펑 딩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 다차원탄소재료 연구단 그룹리더)는 30일 “그래핀 층간 간격이 이제껏 나온 어떤 사례보다 조밀하다. 그래핀이 조밀할수록 강도가 뛰어나다”며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