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50건 검색되었습니다.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
2017.10.28
바람직한지에 대한 ‘대안’을 주지 않기 때문에 진짜 변화를 이끄는 효과는 적다는
발견
들이었다(Gershoff, 2013). 또한 체벌을 받으면서 자란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폭력적이고 반사회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들도 있었다(Gershoff, 2002). GIB 제공 최근 미국에서 약 3300명의 어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선정된 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2015년 2월 14일 코놉카가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된 뒤(사인은 심장마비로 추정된다) 로스배시 교수는 학술지 ‘셀’ 4월 9일자에 그를 기리는 부고를 썼다. 벤저야 한 세대 위 사람이지만 코놉카는 세 살 연하인 동년배로 1980년대 잠깐 공동연구를 하기도 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
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알코올이 채워진 비이커가 등장했다. 해양생물인 굴, 이끼벌레, 히드로충이 이 안에 살고 있다. 이들은 하와이의 앞바다에서 채취됐다. 하지만 고향은 이곳이 아니란다.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6년에 걸쳐 이곳까지 이동해왔다. 미국 오리건주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섹스와 젠더의 과학’에 대한 에세이를 준비하면서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을
발견
했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심리학자 캐롤 드웩이 쓴 ‘Mindset’이란 책이다. 여성들이 수학이나 물리학, 철학을 기피하는 경향이 큰 건 이런 학문이 천재의 몫이고 천재는 남자라는 ‘고착된 마인드세트(fixed mindset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있다. 참고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게놈은 여덟 조각이다. 1976년 우리나라 이호왕 교수가
발견
한, 유행성출혈열을 일으키는 한탄바이러스(Hantaan virus)도 번야바이러스에 속한다. 2011년 ‘뉴잉글랜드의학저널’에는 중국의 신종 진드기 매개 질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처음 보고한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
2017.09.17
비해 일상 속에서 안 좋은 일이 생겨도 덜 불행한 경향을 보였다.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
은 나쁜 ‘상황’ 자체를 받아들이는지 여부는 행복이나 정신 건강과 상관 없었고 나쁜 상황으로 인한 자신의 ‘감정’을 받아들이는지 여부만이 행복 및 정신건강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는 점이다. 불행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짙은 남보라색 꽃도 있었다. 그리고 천변의 나팔꽃이 한 종이 아닌 것 같다는 뜻밖의
발견
도 했다. 즉 잎의 생김새가 세 갈래로 갈라진 개체와 함께 하트 모양의 둥그스름한 개체도 있었다. 꽃의 색이야 같은 계열의 색소(아마도 안토시아닌일 것이다)라도 분자의 디테일 차이나 농도에 따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재조사에 들어갔고 여성이 이 약물을 대사하는 속도가 남성에 비해 꽤 느리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결국 FDA는 여성의 경우 복용량을 기존의 절반으로 줄이게 했다. 스테패닉 교수는 “2016년 미국립보건원(NIH)은 성별(sex)을 생물적 변수로 명시할 것을 요구했다”며 이제 의학에서 섹스의 중요성이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
되지 않았다. 또 도시인들의 미생물 속엔 항생제 내성을 가진 미생물 무리가 하드자 족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1만~1만5000년 전 농업이 발전하며 인류의 식습관이 급격히 바뀐 것이 하드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예고했고 며칠 뒤 기자회견에서 DNA이중나선 골격에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발견
했다고 밝혀 과학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이를 규명한 실험방법에 결함이 많다는 지적과 함께 확실히 증명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왜 쓰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졌다.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