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발견"(으)로 총 2,8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라는 쓴 물질에 대한 민감도에 개인차가 크고 이런 특징이 유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2005년 마침내 PTC가 결합하는 쓴맛수용체가 TAS2R38이고 민감도에 관여하는 SNP 세 곳도 찾았다. 즉 PAV(프롤린-알라닌-발린)형은 PTC에 민감하고 AVI(알라닌-발린-이소류신)형은 쓴맛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둔감하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은 어떻게 자기 고유의 무늬를 만들까?동아사이언스 l2017.04.16
- 비늘을, 검정색 비늘을 기준으로는 3개의 이웃하는 초록색 비늘이 나타난 다는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 Michel C. Milinkovitch 제공 연구팀은 세포 내 반응과 확산이 아닌, 도마뱀 피부 표면인 비늘에 집중했습니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1개의 초록색 비늘을 기준으로 4개의 이웃하는 검정색 비늘이 ...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동아사이언스 l2017.04.14
- 꿀을 5g(차스푼으로 1수저)씩 타 먹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2월 16일에 이상 증상을 발견한 부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 치료를 받았지만, 아이는 20일에 처음 호흡 곤란 증세를 보였고, 28일에 영아 보툴리누스증을 진단, 한달을 투병하다 3월 30일에 세상을 떠났다. 보툴리누스균의 독소가 퍼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밤에 대하여’ 얼마 전 동네 도서관을 어슬렁거리다 제목이 눈길을 끄는 책을 발견했다. 미국 버지니아공대의 사학자 로저 에커치 교수가 2005년 펴낸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라는 책으로 지난해 번역서가 나왔다. 에커치 교수는 이 책에서 산업혁명 이전 서구사회의 밤을 재현하고 있는데 당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가 모기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없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04.09
- 이끈 영국의 동물학자 리자드 봄프리는 모기의 날갯짓에서 특별한 회전 메커니즘을 발견했습니다. 모기는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날갯짓을 할 때 날개 위 쪽에 작은 소용돌이가 발생하는데, 연구팀은 이 소용돌이의 패턴을 분석해 모기 비행의 특징을 알아냈습니다. 모기의 날개짓(위로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에 2016년 12월 게재됐다. 다양한 개화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견은 식물의 개화 시기 조절 메커니즘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PWR 단백질의 작용과 같이, 식물은 후성유전학적으로 DNA에 담긴 유전정보의 변화 없이도 자신의 생애 전반에 걸친 중요한 유전적 결정을 내린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존재, 스트로마톨라이트 같은 화석이 증거다. 예를 들어 호주 서부의 35억 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시아노박테리아의 화석으로 보고 이때 이미 산소발생 광합성이 일어났다는 설명은 오늘날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산소발생 광합성 시작과 대기 중 산소 농도 증가 시작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줄 아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인에게도 너그러울 줄 아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나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또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자신을 용서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보자. ※ 참고문헌 Abramson, L. Y., & Sackheim, H. A. (1977). A paradox in depression: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특히 20세기 들어 정부가 산불억제정책을 본격화하면서 산불다양성이 급감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결과 이 지역에 사는 식물과 동물의 종다양성도 줄어들었다. 산불은 당연히 안 나야 하고 설사 나더라도 초기에 진압해야 해야 한다고 생각해왔던 필자로서는 당황스런 얘기다. 인디언들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시상하부에 도달해 수용체(MC4R)에 달라붙어 식욕을 억제한다. - 네이처 제공 ● 23년 전에 발견된 단백질 학술지 ‘네이처’ 3월 16일자에는 영향력에서 렙틴에 버금가는 새로운 식욕억제호르몬을 보고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컬럼비아대 스타브로울라 코우스테니 교수팀은 뼈의 조골세포(osteoblast)가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