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마찬가지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정체
뉴스
"
동일
"(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약품 핵심 원료 ‘비천연 아미노산’ 국산화한다
2014.11.26
만드는 데 쓰이는 비천연 아미노산은 kg당 10~20만 원을 호가한다”며 “해외 업체와
동일
한 수준의 생산 공정을 만든다면 가격을 절반 정도로 낮춰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신서시스 & 캐탤러시스(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1 ... ...
포화지방은 ‘나쁜지방’ 아니에요~
2014.11.23
전체 지방량과 포화지방량은 낮춘 식사를 제공했다. 실험 기간 내내 전체 식사 칼로리는
동일
하게 유지했다. 실험 기간 동안 참가자들의 혈중 포화지방산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포화지방 섭취량과 포화지방산 농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반면 탄수화물 섭취량이 많아질수록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1.21
유물’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석기시대 유물이 풍부하다. 톰프슨 교수팀은 유물과
동일
한 깊이에 있는 토양을 채취해 여기서 연대를 추정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석기시대는 크게 전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이 중 후기석기시대 유물에서는 돌을 정교하게 갈아 만든 화살촉 등 현생인류도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
2014.11.21
뇌에 이상이 생기고 근력이 약해지는 노화가 일어난다. 사람과 비슷하다. 유전체는 99%가
동일
하다. 그래서 유전자 때문에 생기는 병도 비슷하다. 2년밖에 안 되는 수명은 사람에 비해 무척 짧긴 하지만 말이다. 그런데 그 덕분에 사람은 우리를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지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 ...
말(馬)이 호흡기 질환 안 걸리게 하려면?
2014.11.19
송대섭 선임연구원와 정대균 책임연구원, 김정기 고려대 약대 교수팀은 기존 백신과
동일
한 효능을 가진 백신을 개발하고 국내 동물용 백신제작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19일 밝혔다. 말 인플루엔자는 전염성이 높은 말 호흡기 질병으로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고 있다.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만든 3차원 입체 탄소구조체. 국소적으로는 벌집모양의 그래핀과
동일
하나, 전체 모양은 3차원 입체 구조다. 그래핀 소재의 특성을 유지했다. - 성균관대 제공 그래핀은 탄소를 벌집 모양으로 평면에 배열한 2차원 구조로 투명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해 나노 소자로 사람의 부동섬모(달팽이관 안에 있는 특수 섬모)와
동일
한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로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고양이에게 이식해 성능 확인 시험을 마친 뒤 현재 임상 시험 중이다. 또 달팽이관의 두께를 10분의 1로 ... ...
담배 피면 살 빠진다고? 거짓말!
2014.11.05
떨어뜨리는 ‘인슐린 저항성’이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연구팀은
동일
한 결과를 얻었다. 쥐가 담배 연기를 맡으면 인슐린 저항성이 떨어져 달콤한 음식과 고지방 음식을 즐겨 찾았다. 빅맨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가 본인과 주변 사람의 건강을 고려해 담배를 끊는 계기가 되길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입자를 섞어 만든 ‘에틸실리케이트’가 많이 쓰였다. 필요에 따라 다보탑의 재질과
동일
한 응회암 가루를 더 섞기도 했다. 다보탑은 오랜 세월 자연에 노출되면서 내부에 군데군데 틈(공극)이 발생했다. 다보탑의 석재에는 물에 녹기 쉬운 장석 등이 포함돼 있는데, 빗물에 장석이 빠져나가면서 ... ...
뱀이 모래언덕 어떻게 기어오르나 보니
2014.10.12
뱀이 움직이는 모습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했다. 이어서 뱀 로봇을 경사면 위에 올려놓고
동일
한 실험을 했다. 물론 뱀 로봇은 모래언덕을 오르지 못했다. 연구진은 고속 카메라로 촬영한 뱀과 로봇의 움직임을 비교하면서 둘의 차이점을 면밀하게 분석했다. 그 결과 뱀이 모래언덕을 오를 때 몸이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