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마찬가지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정체
뉴스
"
동일
"(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혹성탈출’ 침팬지 vs 실제 침팬지
과학동아
l
2014.07.11
영화에서 주인공 시저가 무리 중 한 침팬지에게 화해의 손을 내밀고 있다. 실제 침팬지도 이런 몸짓을 통해 대화를 주고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이십세기폭스코리아 제공 “내 아들, 내 가족!” 10일 개봉한 영화 ‘혹성탈출-반격의 서막’은 진화한 유인원 종족과 멸종 위기의 인류 ... ...
“사과드립니다, 잘 하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4.07.07
의미가 강했다. 최원식 새정치연합 의원은 “창조경제의 엔진인 출연연에 공기업과
동일
한 잣대로 규정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유승희 새정치연합 의원은 미래부 장관의 교체가 조기에 이뤄진 것을 들어 “국민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최 후보자는 “창조경제에 ... ...
‘신약의 조건’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6.27
만에 세상에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글로벌 제약사인 화이자의 항생제 ‘자이복스’와
동일
한 타깃을 공략한 덕분이다. 자이복스의 타깃은 세균의 리보솜. 자이복스는 이 리보솜에 붙어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방해해 균이 번식하지 못하게 만든다. 김 단장은 “신약 타깃을 한번 발굴하면 여러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것이다. 신피질이 없어서 의식을 못 느낀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모든 척추동물이
동일
한 뇌구조를 갖게 진화한 것은 아니라고 반문한다. 즉 새들도 신피질이 발달하지 않았지만 고통을 느끼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게다가 최근에는 신피질이 의식을 담당한다는 주장 자체가 도전을 받고 ... ...
두 종류 ‘빛’을 하나로 융합
과학동아
l
2014.06.23
어렵고, 입자성이 강해지면 반대로 측정을 할 때 오류가 생기기 쉽다. 지금까지
동일
한 성질을 가진 두 줄기의 빛을 하나로 융합한 적은 있지만, 입자와 파동이라는 서로 다른 성질의 빛을 하나로 합쳐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진 인공 빛을 만들어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는 양자(quantum ... ...
마약처럼 금단증상 생기는 ‘자외선 중독’
과학동아
l
2014.06.20
마약의 일종인 모르핀이 체내에서 달라붙는 수용체는 같다. 베타엔도르핀이 모르핀과
동일
한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베타엔도르핀이라는 이름도 ‘몸속의 모르핀’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실험에서 자외선을 쪼인 쥐의 체내에는 베타엔도르핀이 더 많이 생성된 사실이 확인됐다. 쥐의 혈액 ... ...
마요라나 입자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6.08
양전자는 (+)극) 서로 구분이 가능하다. 반대로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입자와 반입자가
동일
하다. 1937년 이탈리아의 이론물리학자 에토레 마요라나가 이론적으로 그 존재를 처음 예측했다. 그러나 인류는 아직 마요라나 페르미온의 증거를 찾아내지 못했다. 입자 물리학자들이 마요라나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모두 철회
과학동아
l
2014.06.04
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오보카타 연구 주임이 2012년 7월 ‘사이언스’에
동일
한 논문을 제출했다가 이번에 문제가 된 화상 데이터 중복 사용을 지적받아 게재되지 못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며 “(데이터 조작을) 고의적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STAP 세포 ... ...
3D 프린터로 뼈, 연골, 지방까지 찍어내
과학동아
l
2014.06.02
만들었다. 이 물질은 인체 조직의 구성 성분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성분비도
동일
해 조직 재생을 위한 생체 적합성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연구진은 3D 세포 프린터에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잉크와 재생하려는 조직에 맞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같이 넣고 고분자 틀에 분사해 뼈와 연골, ... ...
이것 개발했더니 보톡스 대체물질까지?
과학동아
l
2014.06.02
뒤 액포간 막융합을 시험관에서 구현하는데 성공한 것. 이 경우 효모에서 매번
동일
한 스네어 단백질을 가진 액포를 분리·정제할 수 있어 합성 리포좀의 불완전한 재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대량 배양이 가능한 효모의 특성을 살려 동물실험에 따른 고비용 문제도 손쉽게 해결할 수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