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11
반복적으로 사용한 암호를 생각해 봐. 첫 글자는 열쇠가 2이고 그
다음
글자는 열쇠가 3,
다음
은 열쇠가 5이므로 ‘MATH IS FUN’(수학은 즐겁다)을 암호화하면 ‘ODYJ LX HXS’가 돼. 비즈네르 암호는 기존의 암호보다 보안성이 높아 전 유럽에서 인기를 끌었지.교황청에서도 암호를?르네상스 시대의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11
다시 보름달이 되기까지는 약 29.5일이 걸리므로 한 바퀴인 360도를 29.5로 나눠 보면
다음
과 같습니다.360도 ÷ 29.5 = 12도 12분본문에 나온 과학자들의 답변과 다르네요? 케임브리지천문대의 과학자들이 달의 다른 공전주기를 바탕으로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29.5일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11
독성물질을 투입했고 2주가 지나자 GRPR을 가진 척수신경세포가 75% 이상 파괴됐다.
다음
으로 연구팀은 히스타민을 비롯해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물질 6가지를 쥐의 피하지방에 주입했다. 그 결과 GRPR이 파괴된 쥐 10마리 가운데 8마리는 가려움을 일으키는 물질을 주입해도 몸을 긁지 않았다. 반면 GRPR이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11
못하고, 짝수 번 겹쳤을 경우에는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 두 그림을
다음
그림과 같이 바꿔 놓을 수 있는데, 이들은 원 모양의 도형을 잡아 늘려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꿔 그린 것과 같다. 이 그림으로부터 사실 소용돌이와 자동차의 위치관계는 원과 자동차의 위치관계와 같음을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11
않아 어느 자극보다 빠르게 뇌에 전달된다.사람이 냄새를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냄새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학물질은 후각 상피세포 끝에 있는 섬모에 있는 후각 수용체에 와서 달라붙는다. 이때 각각의 후각 수용체는 특정한 냄새분자들과 1대 1로 겹합할 수 있도록 디자인 돼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11
이는 330가구가 하루 동안 쓸 수 있는 양으로 세계에서 영국의 1.2MW급 조류발전소
다음
으로 크다.바람개비형보다 수직축 터빈 선택한 이유여기에는 시험조류발전소에 사용된 터빈도 큰 몫을 하고 있다. 터빈은 조류가 흐르는 방향과 회전축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수평축, 수직축 두 가지로 나뉘는데,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11
문득 사탕수수 산업의 침체로 피지사람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
날 아침 커피에 설탕을 타다가 봉지에 남은 걸 입에 털어 넣었다. 왠지 땀내가 느껴지고 씁쓸한 뒷맛이 남을 것 같았지만 피지의 설탕은 무척 달고 향기로울 뿐이었다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1
협력적인 프로그램‘팃포탯’이 승리를 했다.팃포탯은 처음에는 일단 협력하고 그
다음
부터 받은 대로 돌려주는 전략을 썼다. 액설로드 교수는“협력은 강제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기는 것”이라며 “양쪽의 관계가 계속 지속된다는 전제 아래에서만 협력이 이뤄진다”고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11
전갱이라고 보면 틀림없다.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전은 ‘현산어보’에서 고등어를
다음
과 같이 묘사했다. “고등어는 낮 동안 매우 빠른 속도로 헤엄쳐 다니므로 잡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밝은 곳을 좋아하는 성질을 이용해 횃불을 밝혀 놓고 밤에 낚는다.”정약전의 말처럼 고등어는 매우 빠른 ... ...
2. 수학으로 마술하기
수학동아
l
200911
식빵을먹는 방법도 자세하게 적혀 있었다. 그대로 따라 해봤다. 식빵을 대각선으로 자른
다음
식빵 양쪽 모서리에서 가로 1cm, 세로 1cm로 잘라서 먹었다.대각선으로 자른 빗변을 따라 식빵을 움직이면 식빵은 놀랍게도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왔다. 가로 11cm, 세로 10cm로 원래의 식빵을 반시계 방향으로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