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10
하는 문장에 두 자동차가 ‘접촉했다’ 혹은 ‘충돌했다’라는 동사를 사용했 다. 그런
다음
“깨진 전조등을 봤 습니까?”라고 질문했다. 그러자 ‘충돌했다’라는 동사를 본 피험 자들이 ‘접촉했다’라는 동사 를 본 피험자들보다 ‘예’라 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언어에 따라 공간을 지 각하는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10
물꼬가 나 있는데, 소금물이 일정한 농도까지 증발하면 물꼬를 통해 소금물을 그
다음
단계의 증발지로 이동시킨다. 저수지의 바닷물이 결정지에 도착하는 데 보통 20여 일이 걸린다.“그런데 중간에 비라도 오면 어쩌죠?” 며칠 동안 애써 증발시킨 소금물이 빗물에 희석되지는 않을지 걱정이 됐다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10
미국 텍사스주에서 발견된 두개골 길이 2m의‘퀘찰코아툴루스(Quetzalcoatlus)’가 그
다음
으로 큰 익룡으로 알려져 있다.한반도는 익룡 발자국 화석의 보고익룡의 경우 뼛속이 거의 비어 있어 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석으로 보존될 확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잘 보존된 익룡의 골격화석은 매우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10
결코 벗어날 수 없음을 강력하게 입증한 사례다. 1871년 펴낸 저서 ‘인간의 유래’에서
다음
과 같은 글을 쓴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이 이 발견을 안다면 무척이나 기뻐하지 않았을까.“어린아이들이 옹알거리는 걸 보면 알겠지만, 사람은 말을 하려는 본능적인 경향이 있다. 하지만 어떤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10
소리부터 SF영화에서 나올 법한 기계음 소리, 신음 소리 등이 다양하게 난다.그뿐 아니다.
다음
막에서는 무대 전체에 격자 모양의 빛이 나타나 정신없이 움직인다. 무대 뒤에서 배우들이 움직이는 모양에 따라 빛은 무대를 훑고 지나가거나 빠르게 날기도 하고 격자가 작아지거나 커진다. 곧이어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사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들은 지름이 2m나 되는 커다란 풍선을 헬륨 가스로 채운
다음
, 디지털 카메라를 매달아 하늘에 띄웠다. 풍선은 고도 30km 정도의 성층권에 도착했고 결국 풍선을 이용해 지구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다. 하늘을 나는 일 외에도 풍선으로 이룰 수 있는 꿈이 있지 않을까.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10
매우 뛰어난 과학제도였다. 중국의 역사를 다룬 ‘한서(漢書)’의 율력지에 이 제도가
다음
과 같이 성문화돼 있다.“도(度)는 황종관의 길이를 기본으로 삼는다. 거서(禾巨黍, 검은 기장) 가운데 크기가 중간쯤 되는 낱알을 황종관과 나란히 배열하면, 이 관의 길이는 거서 90톨에 해당한다. 이때 한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10
밝혀졌다. 한붓그리기 문제는 지금도 여러가지 형태로 만날 수 있는데, 해결 방법은 바로
다음
과 같다. ① 짝수 개의 선이 연결된 점으로만 된 도형은 어느 점에서 시작해도 한붓그리기가 가능하다. ② 홀수 개의 선이 연결된 점이 단 두 개만 있는 도형은 이 두 점 중 하나에서 시작하면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10
아는 것이 중요해요. 그 정보를 통해 얼마나 영상이 왜곡됐는지 알 수 있으니까요. 그
다음
에 수학적 알고리즘을 만들어 기하학적 왜곡을 바로 잡습니다."최 박사는 그동안의 연구로 받은 국내·외 특허가 두 개나 된다. 그 중 하나는 영상처리에서 쓰이는 수학 이론인 웨이블릿*으로 받았다. 최 ... ...
Part 1. χ가 없던 시절에는
수학동아
l
200909
중국이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어. 중국의 주세걸이 1299년 펴낸 '산학계몽'에는
다음
과 같은 문제가 나와. 이 문제는 조선 영조시기의 실학자 황윤석이 쓴 책 '산학입문(이수신편 21권)'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今有 鷄兎 一百共足二百七十二雙 只元 鷄足二兎足四 問 鷄兎各幾何"(금유 계토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