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유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경세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뉴런’ 7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뉴런은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초당 약 40회 자극을 일으키며, 외부감각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동했다. 이는 뇌파의 일종인 감마파의 활동과 유사하다. 그간 학계에서는 ...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제왕나비의 습성을 잃어버린다고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제왕나비는 번식기에 접어들기 전 떼를 지어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최근 자연 서식지가 파괴되고 제왕나비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실내에서 사육하는 경우가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위성은 궤도 진입을 못한 것으로 판단됐다. 하지만 사안이 사안인 만큼, 분석 결과 발표에 신중을 기해야 했다. 고민 끝에 인공위성 발사 시도는 맞는 것으로 보이나 궤도 진입에는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나중에 알게 된 것이지만, 다른 우주 기술 선진국도 우리와 같은 분석 ...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등 크고 작은 단체들이 생겨나 각자 의견을 내고 있지요. 발표 다음날 포항 지진 범시민대책본부엔 소송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포항 시민 300여 명이 몰려들었으며, 600통이 넘는 전화가 빗발치기도 했답니다. ●본진 : 한 지역에서 지진이 연속해서 일어날 때 그중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게임 랙 극복한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이 연구는 2019년 5월에 열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국제 학술대회인 ‘2019 CHI’에서 발표됐습니다.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두아디와 쿠더의 방정식으로 설명하지 못했던 식물까지 포함하는 변형된 방정식을 발표했습니다. 피보나치 수열을 따르지 않는 식물 종이 어떻게 배열 패턴을 나타내는지 알아낸 것이지요. 상산나무는 기존의 식물 생장 모델로는 배열 패턴을 만들지 못했던 식물입니다. 연구팀은 예외라고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물론 다양한 기능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26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38/s41586-019-1345-6 연구팀은 먼저 굳은살이 발바닥 촉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촉각은 피부에 있는 기계적 감각수용체가 인식하는데, 감각의 종류는 피부 속 감각수용체의 위치에 따라 네 가지로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능력을 공기 역학 원리로 밝혀내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4월 6일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doi:10.1038/nature21727우선 연구팀은 실험대상으로 삼은 열대집모기(Culex quinquefasciatus)만을 위한 카메라 스튜디오를 만들었다. 열대집모기는 말 그대로 열대 지역에 사는 집모기로, 지카바이러스 매개체로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이용해 프로테아좀을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을 새롭게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nature09299 프로테아좀의 작용 속도를 조절하는 화합물의 기능을 확인하려면 해당 단백질에 화합물을 뿌린 뒤 효과를 관찰해야 한다. 이를 빠르게 자동화시킨 기술이 이 교수가 개발한 고속 ... ...
- 포항이 본래 불안정했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Q앞으로 더 밝혀야 할 점이 있나요?사실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엄청 많아요. 이번에 발표된 연구 결과는 포항 지진이 촉발 지진이라는 증거들을 찾았다는 거예요. 앞으로 우리가 찾은 증거가 단층에 어떤 힘을 주어서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정확하게 물리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