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
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수학이 있다.삼각비로 지구 어디든 위치 파악해로드뷰와 스토어뷰에 사용되는 가장 기
본
적인 기술은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이다. 어디서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는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스마트폰이나 비행기의 자동항법장치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GPS는 미국 국방부가 쏘아 ... ...
[정보] 수학으로 지키는 우리 문화재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큰 동물이 나타나면 도망치려 하지. 임주백 박사는 송사리의 포식자인 물새의 모습을
본
뜬 삼각형 조각을 송사리 머리 위로 지나가게 하고, 송사리들이 도망치는 모습을 관찰하는 실험을 설계했어. 단, 송사리가 반응을 보이는 포식자에 대한 변수는 포식자의 크기와 이동속도 2가지로 한정했어.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심리과학’에 나온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즐거운 영상을
본
피험자는 슬픈 영상을
본
피험자보다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과학자 루비 네이들러에 의하면 긍정적 기분이 인지적 유연성을 높이며, 부정적인 기분은 그 반대다.그렇다면 최적의 문제해결능력을 갖추기 위해 아침을 바꾸면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미친 짓이야.”“둘 중에 누가 진짜인지 서로 얼굴 마주 보고 진지하게 토론하는 거죠. 원
본
이 누구일지.”“그렇게 하면 자아가 둘로 갈라져. 한쪽을 죽이면서 동시에 가야…….”“그것도 믿음이죠. 결국은 믿음의 문제예요.”청년은 몸을 깊이 숙였다.“우리는 몸을 모두 해체하고 가상공간으로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7월 중국 하얼빈공대 연구팀은 1.5kg짜리 소금쟁이 로봇을 개발했다. 소금쟁이의 발 끝을
본
떠 물을 밀어내도록 설계한 것이다.[물에 빠지지 않고 수면으로 빠르게 뛰어가는 바실리스크 도마뱀. 자기 몸무게의 3배나 되는 힘으로 물을 내리쳐 공기쿠션을 만들어 뛰어간다.]이와 비슷하게 물 위를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로 한 겹의 벽을 만들어 시험해
본
결과 약 30%의 편광능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으면 테라헤르츠 영역의 빛을 99% 이상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잘하거나 글을 잘 쓰거나 문학을 잘하는 것도 이과 상위권 학생들이 가져야 할 기
본
덕목이야. 그리고 그냥 잘하니까 선택하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아. 잘하는 것과 재미있는 것 중에 어떤 걸 더 오래할 수 있을까?”“재미있는 거요.”같은 돈을 받고 일해도 재미있는 일을 하는 것과 먹고 살기 위해 ... ...
당당하게 자신을 드러내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온난화에 대해 연구하는 교수님의 강연을 들으면서 새로운 지식도 배웠다. 학교에서 못해
본
실험도 많이 했다.학교 선생님의 권유로 혼자 ‘과학관련 글 요약하기’도 시작했다. 과학동아의 과학기사나 인터넷에 나와 있는 과학자료를 읽고 요약하는 활동이었다. 처음에는 권유로 시작했지만 곧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못한 작은 인기척이나 멀리서 들리는 발자국 소리에도 귀를 쫑긋 세우는 개의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개는 사람보다 4배나 먼 거리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청각이 15배 정도 예민하다고 한다. 또한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높은 음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개를 부를 때 초음파를 사용하기도 한다. ... ...
남극 열수구에서 미지의 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받아 메탄과 황화물을 분해해서 먹고 사는 걸로 생각하고 있어요. 또 깊은 바다에서
본
적이 없는 포식성 불가사리 무리와 흰 문어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어요. 새로운 종을 발견해 연구하면 생명의 신비를 하나씩 밝혀낼 수 있답니다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