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각운동량보존이라고 한다. 피겨 스케이팅선수가 팔을 벌린
채
로 돌다가 팔을 오므리면 도는 속도가 빨라진다. 회전 반경이 줄어들면 회전속도가 빨라져야 각운동량이 보존되기 때문이다.블랙홀은 초기 질량이 태양의 20배가 넘는 무거운 별들이 수명을 다하고 붕괴하면서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북쪽하늘에 매달린
채
맴돌게 됐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용자리는 북극성을 둘러싼
채
북쪽하늘의 넓은 지역에 걸쳐 있다.사실 C153은 신화에 등장하는 용처럼 불쌍한 신세다. 우주에는 수천억개의 은하들이 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무리지어 수많은 은하단을 구성한다. C153은 ‘아벨2125’라는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조금 늦었지만 같은 해인 1783년 발명됐다. 가스기구는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채
워 내부 공기를 가볍게 한다. 처음 쓰인 가스는 가장 가벼운 기체인 수소였다. 하지만 수소는 공기중 산소와 결합해 폭발하는 위험이 있어 1920년대 이후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현재는 헬륨가스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전에는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했었다. 왜 그런지 다시 한번 모양정보처리통로와 색
채
정보처리통로의 특징을 살펴보자.사실 모양정보처리통로가 직접 모양에 관한 정보를 추출해 전달해주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시각기제가 이 통로를 통해 전달된 정보, 즉 밝기변화에 관한 정보에 주로 의존해 ... ...
트레비식, 철도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아버지가 일하던 광산을 드나들며 증기기관들을 관심있게 지켜봤던 그는 2년도
채
안돼 고문 기술자로 승진해 이웃 광산으로 옮겼다. 그곳에서 사용 중이던 증기기관의 성능에 대한 종합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그는 많은 기술과 지식을 얻었다.당시 영국 남부 광산주들은 와트의 증기기관에 달린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항의하며 되돌아간 사람도 족히 1백명이 넘는다. 여러 매체의 기자들은 노트북을 켜놓은
채
맨앞줄에 일렬로 앉아 강연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오늘의 주인공, 리처드 도킨스와 스티븐 제이 굴드는 사회자인 킴 스티렐니 박사의 좌우에 앉아있다.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일지…. 사회자가 먼저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IGY)이었던 1957년 8월 러시아 미르니기지에서 전기사고로 생각되는 화재가 발생해 건물 한
채
가 타고, 8명이 희생됐다. 당시 눈앞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초속 30-40m의 남극 폭설풍(blizzard)이 불었다. 건물이 두께 1.5m의 눈으로 덮였어도 불길이 워낙 강해 불을 끌 방법이 없었다고 한다.1987년 7월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영역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심한 경우 시간의 관념을 잃어버린
채
오직 현재속에서만 살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자들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해마나, 해마가 대뇌피질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중계역할을 하는 대뇌 측두엽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은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나눈다 PC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는 1천2백bps급인데 비동기방식을
채
택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데이터는 10비트 따라서 1천2백bps는 초당 1백20바이트를 전송한다는 뜻이다 이 경우 흔히 쓰는3백60KB의 525인치 디스켓 1장을 전송하기 위해서 50분이란 시간이 소요된다DDD용 공중전화기에서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패턴은 같았다. 황 교수 연구실에서는 이 원리를 이용해 이마와 정수리에 센서를 붙인
채
컴퓨터 화면의 커서를 생각만으로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국내외 BMI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다. 하지만 황 교수는 “낯선 사람을 만나도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것처럼 가까운 미래에는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