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39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유전학부터 계량경제학까지…올해 노벨상 유력 후보 19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빛에 반응하는 일종의 ‘스위치’를 뇌세포에 단 뒤 빛을 쪼여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
하는 획기적 신경과학 기술인 ‘광유전학’의 창시자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게로 미셴보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에른스트 밤베르크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학연구소 명예소장이 이름을 ... ...
인체 3차원 게놈지도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이 기법을 이용하면 멀리 떨어진 비전사 영역의 유전정보 분석이 가능하며 유전자를
조절
까지 가능하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기법을 활용한 결과 연구팀은 인간 게놈에 존재하는 약 90만개 게놈 3차원 염색질 고리 구조를 발굴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기능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 ...
헬릭스미스 임상 3상 결과 발표 연기…"약물 혼용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손상되는 질환이다. 지금까지는 완전한 치료제가 없어 식이요법을 통해 혈당을
조절
하거나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시켰다. 신 치료 후보물질인 엔젠시스는 손상된 신경세포를 복구하고 말초혈관을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헬릭스미스는 엔젠시스에 대한 임상 3상을 마치고 원래 ... ...
"30년간 써온 HIV 치료제 퇴행성 뇌질환 효과. 치료 새 장 열 것"
2019.09.23
모자이크 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유전자 모자이크 현상은 생리 기능
조절
및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천 교수는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운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천 교수에 따르면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구체 단백질에서 다양한 유전적 변이가 ... ...
"뇌과학이 찾아낸 조현병 유전자만 300개. 아이 때부터 잘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이용한 치료방법도 있다. 하이먼 센터장은 시냅스 가지치기를 느리게 하거나
조절
하는 약물을 개발 중이다. 그는 “최초의 조현병 약은 수면제로 개발됐고 항우울제로 쓰이는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MAOI)도 원래 결핵 치료제로 발명됐다”며 “조현병 치료법에 대해 계속 연구하다 보면 이런 ... ...
유전자 발현 억제하는 마이크로RNA의 표적 예측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유전자나 단백질 자체를
조절
하기 보다는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조절
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3일자에 소개됐다 ... ...
비싼 ‘이리듐’ 적게 사용해 전기분해로 수소 얻는 고효율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수소 원자 흡착 에너지를 낮추는 데 ‘질소와 탄소로 이리듐 원자의 전자껍질을
조절
’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뤄져 있는데 전자가 위치하는 곳을 전자껍질이라고 한다. 이리듐 주변에 전자를 좋아하는 성질이 큰 질소와 탄소를 적절히 배치해 수소 원자를 당기는 힘을 ... ...
네안데르탈인 멸종은 중이염 잦은 귀 구조 탓
연합뉴스
l
2019.09.23
코의 뒤쪽 부분인 비인강과 가운데귀(中耳)를 연결해 가운데귀와 바깥귀의 압력을 같게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 인류학자와 머리·목 부위 전문 해부학자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이 특별한 병원균이 아니라 만성 귓병처럼 가장 일반적이고 해가 크지 않은 아동 질환에서 ... ...
가깝고도 먼 친척인류 얼굴 잇따라 복원
2019.09.20
끼우거나 밑줄을 긋듯이 염기서열에 화학 물질을 붙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활성을
조절
할 수 있다. 이를 ‘후성유전’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데니소바인 게놈에서 후성유전을 조사한 뒤, 이들이 뼈에 미치는 변화를 예측했다.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해부학적 특징이 확인된 네안데르탈인 ... ...
젊은 유방암 환자, 난소 기능
조절
해 재발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노우철 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외과 과장팀은 한국원자력의학원은 폐경 전인 젊은 유방암 환자가 항암치료를 받은 후 추가적으로 난소 기능 억제 치료를 받으면 유방암 재발을 막고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폐경 전인 젊은 유방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