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39건 검색되었습니다.
임플란트 시신경에 심어 빛 보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설계됐다. 연구팀은 토끼의 시신경에 임플란트를 이식한 후 자극 횟수와 빈도 등을
조절
해 시신경이 실제 볼 때와 유사한 전기자극을 받도록 최적화했다. 임플란트에 50마이크로암페어(㎂)의 전류를 흘렸을 때 토끼의 시각 피질에서는 실제 볼 때 활성화되는 정도의 31.2%가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태풍 와도 안전한 건물 나오나…국내 연구팀 '유체 저항 0' 메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연구팀이 개발한 메타물질의 개념을 표현했다. 맨 인쪽은 장애물이 없을 때 일반적인 유체의 흐름이다. 유체가 방해 없이 가지런히 흐른다(평행한 선으로 표현). 가운데는 보통 장애물이 있을 때의 유체 흐름 변화다. 저항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변화한다. 이는 유체의 점도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 ... ...
"日의 소재 공격 맞서 中企에 기술이전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8.19
시제품까지 전 과정을 혁신한 결과물이다. 효율을 100배 높였고, X선 선량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성능도 개량했다. 이 교수가 1998년 국내 최초로 수직 합성하는 데 성공한 탄소나노튜브 보관 시료를 들고 있다. 윤신영 기자 X선 튜브는 현재 비싼 제품의 경우 가격이 수천만 원에 ... ...
이식된 줄기세포 생명력 높이는 단백질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15
허혈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세포대사
조절
효과가 확인된 지질대사체는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 효능 향상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치맥 더 먹어도 될까…통풍 치료제 효과 높이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문제점이 있다. 연구팀은 고분자 나노전달체를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온도
조절
로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고분자 나노전달체에 효소와 금 나노입자를 원하는 비율로 포집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런 다음 실제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은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 ...
난치성 뇌전증 진단 정확도 30%에서 100%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부분 발작과 전신 발작을 겪는다. 전체 뇌전증 중 30~40%는 난치성 뇌전증으로 약물치료로
조절
되지 않아 치료를 위해 수술이 필요하다. 이런 난치성 뇌전증은 신체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단이 어렵다. 뇌 국소 부위에서 발생한 소량의 돌연변이를 찾는 기존 진단법의 ... ...
류마티스관절염 악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자극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악화시키는 인터루킨17를 만들어낸다”며 “태반성장인자를
조절
하는 방식을 통해 난치성 면역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태반성장인자를 억제할 경우 혈관의 증식과 림프구의 비정상적인 활성을 감소시켰다”며 “부작용 없이 ... ...
1조 분의 1초만에 사라지는 핫전자 잡아 태양전지 효율 1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초 가량 머물렀다”고 말했다. 박 부연구단장은 “향후 핫전자의 소멸 및 포집시간을
조절
해 같은 양의 빛을 받아도 더 많은 전류를 발생시키는 초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핫전자 태양전지를 개발할 것”이라며 “핫전자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 개발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 ...
인체 움직임으로 마찰전기 만들어 과민성 방광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기계적-신경자극기를 골반신경에 삽입하고, 이를 이용해 신경
조절
을 통한 방광기능을
조절
하는 방식을 나타낸 모식도(가운데)로, 이 때 삽입된 신경자극기에서 생성된 신경자극을 위한 출력 신호를 보여준다(오른쪽). DGIST 제공 ... ...
지방 축적 원인 단백질 규명…비만·당뇨 등 치료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지방간과 인슐린 저항성 등 대사질환이 개선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톤이비피 단백질을
조절
하면 에너지 소비와 지방 분해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셈이다. 비만을 막고 대사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또 톤이비피 단백질이 백색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