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해도 같은 홍채를 가질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낮다.홍채는 원래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
하는 조리개 역할을 한다. 또 홍채는 그 내부의 신경과 혈관 조직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최근 일부 한의학 분야에서는 홍채의 이같은 특성을 이용해 신체의 건강 상태를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RNA는 DNA부터 단백질에 이르기까지 유전자가 발현되는 모든 과정에 참여해 형질발현을
조절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RNA는 염색질의 특정 부위에 직접 결합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며, 때때로 전체 염색체의 스위치를 완전히 꺼버릴 수도 있다.특히 과일파리(fruit fly)의 경우 암수의 유전자 용량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역시 자살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리 몸의 생체시계를
조절
하는 물질로 알려진 멜라토닌은 수면 외에도 배고픔, 성욕 등 각종 생리적 기능에 관여하는 분자다.지난 1988년 미국 컬럼비아대 마이클 스탠리 박사는 멜라토닌과 자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된다4~5세부터 퇴색하기 시작하며 점차 없어진다 색소포에 직접 분포하여 그 활동을
조절
하는 원심신경 색소포 내의 색소과립을 확산 또는 응집시키거나 또는 색소포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붙는 색소포근(色素胞筋)을 수축 또는 이완시켜 동물의 체색을 변화시킨다물체의 표면색(表面色)에서 ...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점멸비가 초당 ${10}^{6}$번 정도여야 한다.또한 전하량을
조절
할 수 있는 빛의 세기 폭이 넓어야 디스플레이에서 총천연색을 좀더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현재 OTFT의 성능은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모니터의 TFT-LCD의 수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단위소자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분해할 수 있다. 숲 속의 바람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해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을
조절
하고, 도시와 숲의 공기를 섞어줘 공기 정화의 역할을 맡는다.Tip!아침에 일어나 그냥 듣고 흘려버리기 아까운 소리들을 종이 위에 소리 지도로 옮겨 보자. 새는 낮이나 밤보다는 아침에 활동량이 많이 때문에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추위보다 더위에 훨씬 강해극단적 환경에 놓였을 때 인체의 반응을 연구하는 영국 옥스퍼드대 생리학과 프란세스 아쉬크로프트 교수는 “그렇지 ... 오히려 온도가 더 낮아져 아래로 이동하고 뜨거운 공기가 대체하게 된다.결국 몸의 체온
조절
은 전적으로 땀을 증발시키는데 의존하게 된다 ... ...
우울증 유발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연구진은 뇌세포 사이에서 ‘행복’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조절
하는 ‘5-HTT’ 유전자를 연구했다. 5-HTT 유전자는 길이에 따라 장형과 단형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단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장형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 비해 감정적인 스트레스가 우울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2배 ...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모니터한다. 질병이 생긴 조직을 발견하면 이를 치료하기 위해 필요한 약물의 양도
조절
할 수 있다.이와 같은 미래 기술은 휴대폰이나 로봇내시경을 만들 때 사용되는 소자나 센서의 극소형화가 이뤄져야 가능하다. 매우 작은 소자나 센서는 미세한 오염 입자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 즉 원자나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
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하지만 최근 동결기술의 발전과 배아 이식을 받는 환자의 자궁내막을 임신에 적절하도록
조절
하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냉동배아의 임신 성공률은 자연임신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다.한편 냉동배아는 사회적인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우선 냉동배아의 처리 문제다.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