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 눈이 밤에 빛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후 조명이 켜지면 객석이나 관객들이 훨씬 잘 보인다.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은 홍채가
조절
한다. 주변이 밝을 때는 홍채가 느슨해지면서 동공이 작아져 눈에 빛이 적게 들어온다. 반대로 어두울 때는 홍채가 수축하면서 동공이 커지므로 눈에 빛이 많이 들어온다.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밝은 곳으로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치 등의 환경적 차이는 생물학 시스템에서 궁극적으로 유전자의 발현을 차이나게
조절
해 성의 결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고환이 몸밖으로 드러나 있는 이유옛말에 사내아이는 아랫도리를 차게 키워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 단순히 속설처럼 보이지만,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말이다. 고환에서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단순히 용기 안의 기체 밀도를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용기 안에 들어가는 기체 성분을
조절
하고 제어하는 차원으로 발전했다. 또한 기체가 없는 공간을 만들어내는데 그치지 않고 진공 중에서 다양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어떤 분야에 적용되는가에 따라 필요한 진공도가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쓰이는 모르핀과 화학적 성질이 유사해 진통뿐만 아니라 수면과 성기능 등 생리현상을
조절
한다. 요컨대 엔케팔린을 합성할 수 있다면 사람도 체온이 3℃인 동면 상태가 될 수 있다.인공동면은 아직까지 실현되지 않고 있지만 동면의 원리를 응용한 의료시술은 시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빛의 반사를 막지 않을 정도로 구멍을 뚫어야 한다. 관건은 구멍의 지름과 간격을 잘
조절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멍의 지름은 1-1.5mm이고, 구멍 사이의 간격은 4-6mm라고 한다.스크린의 전체 모양도 생각과 다르다. 스크린을 위쪽에서 내려다본다면 가운데가 오목하게 휘어있음을 알 수 있다.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발현되지 않는지 원리부터 밝혀야 이를
조절
하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분화
조절
이 가능하다고 해도 면역 거부 반응이 문제가 된다. 다른 사람의 배아줄기세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면역 거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복제양 돌리에서처럼 환자에서 분리한 세포의 핵을 타인의 ... ...
1 지구에서 등정하는 화성의 올림푸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 있도록 만들어 졌다. 부메랑은 탐사팀이 바깥으로 나가기 위해 거쳐야 하는 압력
조절
공간과 작업, 취침 공간으로 이뤄져있다. 탐사팀은 화성의 압력과 대기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부메랑 내부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고 화성 암석 샘플을 연구할 수 있다.당장 입어도 무리 없는 우주복화성의 ... ...
터널 화재 당신이라면 어디로?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천장의 배기 덕트를 통해 빠져나간다. 그런데 불이 나면 평상시와 달리 급기, 배기량을
조절
해야 한다.배기량이 급기량보다 많은 경우 공기는 터널 양쪽 입구에서 안으로 흐른다. 만약 터널 중앙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면 연기가 좌우로 퍼져가는데, 터널 양쪽 출구에서 중앙으로 들어오는 공기 흐름과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굴절돼 망막에 상이 맺힌다. 사진기의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는 모양체에 의해 두께가
조절
된다. 모양체와 수정체는 모양소대라는 끈처럼 생긴 근육으로 연결돼 있다.수정체가 자라 노안 발생? 가까운 거리를 볼 때는 모양체가 모양소대를 느슨하게 해 수정체를 두껍게 만든다. 두꺼운 수정체는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유전자가 대표적이며, ‘프리시닐린 1 & 2 유전자’도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생성량을
조절
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Apo E 유전자가 비정상적이더라도 이들 유전자가 정상이면 치매가 발병하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그렇다면 왜 유전자 검사 업체는 이들 유전자에 대해서는 검사를 하지 않는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