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은 과식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잡식동물 인간, 수만 가지 동식물을 탐하다과학동아 l2015.10.30
- 튼튼한 앞어금니와 어금니를 갖고 있고, 육식동물은 앞니와 송곳니가 날카롭게 발달했다(오른쪽 사진 참조). 잡식동물은 그 중간쯤이라고 보면 된다. 인간은 모든 치아가 대체로 잘 발달해 있고, 음식을 먹을 때에도 모든 치아를 골고루 사용한다. 잡식동물이라는 증거다. 인간의 침 안에서도 증거를 ... ...
- [삼성 vs 두산, 한국 시리즈 더 재밌게 보기]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10.29
-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던지는 직구의 분당 평균 회전수는 2200회다. 메이저리그의 통계(오른쪽 그래프)를 보면, 회전수가 높을수록 타자가 헛스윙을 할 확률도 높았다. ● 마무리는 불 같은 강속구? 데이는 회전수의 위력을 가장 잘 살리는 투수로 보스턴 레드삭스의 마무리 투수, 우에하라 코지를 ... ...
- 예술가를 사랑한 컴퓨터 과학동아 l2015.10.29
- 을 칸딘스키의 ‘구성VII’ 스타일(S)로 바꾼 결과(R). 왼쪽은 내용에 초점을 맞춘 결과고, 오른쪽은 스타일을 적극 반영한 결과물이다. - GIB/ 유택근 제공 거장 두 명의 스타일을 융합할 수도 있다. 꿈에서나 그리던 고흐와 뭉크의 콜라보레이션이 컴퓨터로 가능해진 셈이다. 방법도 간단하다. 스타일을 ... ...
- [KBO 한국 시리즈 깊이 보기] 야구 최종 우승, 수학에 달렸다수학동아 l2015.10.29
- 성공률과 실패율뿐 아니라 행동에 따르는 보상의 크기도 생각한다. 10번 중 8번의 타구를 오른쪽으로 안타를 만들어 내는 타자에게 시프트가 걸렸다면, 수비수가 없는 쪽으로 번트를 대서 베이스 하나를 가져갈지, 아니면 장타로 수비수를 다 넘겨 버릴지 결정해야 한다. 보통 타격밸런스의 문제와 ... ...
- 3주 만에 머리 나는 탈모 치료제 나온다2015.10.26
- 관절염치료제의 주성분인 ‘토파시티닙’(가운데)과 혈액진환 치료제인 ‘록솔리티닙’(오른쪽)을 적용하자, 약을 바르지 않은 부분과 다르게 털이 빠르고 풍성하게 자라남을 확인했다. -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제공 단 3주 만에 머리털이 나게 하는 물질이 개발됐다. 동물실험 결과에서도 효능이 ... ...
- 미의 절대기준은 존재하는가?2015.10.26
- 시각피질의 활동도는 낮고(왼쪽 파란색) 미상핵과 왼쪽안와전두피질의 활동도는 높다(오른쪽 노란색). - Jamie Feusner 제공 신체이형장애는 얼굴에 아무 문제가 없거나 작은 흠이 있는 걸 심각한 문제가 생긴 것처럼 확대 왜곡해 인지하는 증상이다. 역시 다른 많은 정신질환처럼 유전적인 요소가 큰 ... ...
- 류마티스 관절염, 정녕 치료제는 없나요2015.10.21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8월 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마치5 단백질이 없는 쥐(오른쪽)는 면역물질(IL-6, IFN-β)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반면 마치5 단백질이 있는 쥐는 그 양이 적절히 조절된다. - 아주대·충남대 ... ...
- 오늘 미세먼지 습격, 내 건강을 지키려면? 동아사이언스 l2015.10.20
- 찾아봤습니다. 10월 15일 서울 하늘(왼쪽)과 미세먼지가 가득한 10월 20일 서울 하늘(오른쪽). 미세먼지가 자욱해 멀리 있는 건물이 안 보일 지경이다. - 정진영 페이스북 제공 ○미세먼지, 우리만 당하는건 아니네 우리나라는 보통 중국에서 날아오는 황사가 미세먼지의 원인이라고 알려져 ... ...
- 화성 탐사의 심리학2015.10.19
- 모듈(빨간색)을 뺀 4개 모듈(회색)이 실제 탐사체다. 앞쪽 긴 원기둥이 주거모듈, 오른쪽 위 짧은 원기둥이 의료모듈, 가운데 긴 원기둥이 저장 모듈이다. 왼쪽 아래 짧은 원기둥은 화성이착륙기 모듈이다. - IBMP 제공 러시아인 3명, 유럽인 2명, 중국인 1명으로 이뤄진 탐사대는 모두 남성으로 나이는 ... ...
- “존 F. 케네디 암살범은 오스월드 맞다”2015.10.19
- 속 리 하비 오스월드의 모습(왼쪽)을 분석하기 위해 생리학적으로 타당한 그의 3D 모델(오른쪽)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3D 모델을 활용해 사진 속 모습은 균형을 잃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자세는 안정적이라고 분석했다. - Warren Commission, Hany Farid 제공 해니 페이리드 미국 다트머스대 컴퓨터공학과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