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하고 앉아있네’ 부터 ‘과정남’까지
2015.09.18
곳으로 갔을 것이라며 넋을 기렸다.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정한별(왼쪽), 박대인(
오른쪽
) 연구원은 과학기술정책을 주제로 한 팟캐스트를 1년 넘게 이끌어가고 있다. - 과정남 제공 최근 ‘과학하고 앉아있네’의 영향으로 새로운 과학 팟캐스트들이 하나둘 생겨나고 있다. KAIST ... ...
올 추석 보름달은 17시 50분에 ‘슈퍼문’ 보세요~
2015.09.17
가장 작은 달(왼쪽)과 큰 달(
오른쪽
).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올해 한가위를 서울에서 보내는 사람은 오후 5시 50분에 보름달을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가위 당일인 27일 보름달이 서울 기준으로 이 시각에 뜬다고 16일 밝혔다. 달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지역은 울산으로 17시 40분에 달이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역시 원시 인류에서 보이는 패턴이다. 호모 날레디의 손뼈로 왼쪽은 손바닥 면,
오른쪽
은 손등 면이다. 손뼈 27개 가운데 콩알뼈만 없다. 손가락의 비율이 현생인류와 가깝지만 약간 휘어져 있어 나무를 타는데 적합하다. 반면 손바닥과 엄지손가락은 현생인류처럼 도구를 다루는데 적합하다. - ... ...
도체-부도체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 첫 상용화
2015.09.09
개발한 전류개폐기의 모습(
오른쪽
). 아래 쪽에 전류차단 기능을 하는 ’MIT’소자가 보인다. 기존 제품(왼쪽)에 비교해 절반정도 크기지만 성능과 내구성은 더 높아졌다. 가격 역시 2분의 1까지 떨어질 걸로 보인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존재를 확인한 전자기 ... ...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옆으로 잡아당길 때
오른쪽
을 아래로 내리면 태양전지가
오른쪽
으로 기울고,
오른쪽
을 올리면 태양전지가 왼쪽으로 기울었다.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해의 일상을 따라 태양전지가 해바라기처럼 고개를 돌릴 수 있게 된 것이다. 해의 위치에 따라 방향을 트는 태양전지는 고정된 ... ...
식물이 가뭄을 버티는 비법 찾았다
2015.09.08
가운데 줄)은 야생종에 비해 가뭄에 더 잘 버틴다. 반면, 유카 단백질에 변형이 생긴 식물(
오른쪽
줄)은 가뭄에 버티지 못했다. - 경상대 생화학과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가뭄 같은 악조건에서도 식물이 버틸 수 있는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윤대진 경상대 생화학과 교수팀은 식물이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왼쪽아래 십자가)를 벗어나도 그다지 흐릿해지지 않는 반면(세로선 중간 0.4디옵터,
오른쪽
0.8디옵터) 위아래는 심도가 얕아 초점거리를 조금만 벗어나도 흐릿해진다(가로선 중간 0.4디옵터, 위쪽 0.8디옵터).- 사이언스 어드밴스 제공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 8월 7일자에는 동물의 눈동자 ... ...
영화 속 단골 소재 '웜홀' 실험실에서 만들었다
2015.09.07
Scientific Reports)’ 8월 20일자에 실렸다. 연구진이 개발한 자기 웜홀의 3차원 이미지.
오른쪽
에서 들어온 자기력선(붉은 색)이 자기 웜홀을 통과해 왼쪽 출구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왼쪽 사진). 웜홀은 자기적으로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자성체 입장에서는 자기장이 나타났다가 다른 곳에서 ... ...
고등학교 교실에 ‘스마트폰 감옥’ 첫 등장
2015.09.03
특허권을 가진 박희라(
오른쪽
) 학생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금고에 넣고 있다. 공동 특허권자인 이정원 학생의 모습도 보인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스마트폰을 넣고 충전 줄을 연결하자 보관함 위쪽에 녹색 불이 켜졌다. 문을 닫고 전자카드를 갖다 대자 ‘삑’ 하는 소리가 들렸다. 철제 보관함 ... ...
빛으로 자원을 만든다! 인공광합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02
차츰 밝혀졌지요. 그러나 포도당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20세기인 1945년에 멜빈 켈빈(
오른쪽
사진)에 의해서 밝혀졌어요. 켈빈은 이 공로로 1961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답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9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