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 음성분석 해봤습니다
2015.07.03
차지하고 있는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왼쪽)의 정체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오른쪽
은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로 가수 김연우. - MBC 제공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의 정체는 가수 김연우일까. 얼굴에 가면을 쓰고 노래 실력을 겨루는 프로그램인 ‘일밤-복면가왕’이 인기다. 특히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존재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아데닌도 메틸화돼 메틸아데닌(6mA, 그림
오른쪽
위 분자)로 바뀔 수 있다. 6mA는 박테리아에서 게놈을 보호한다는 역할을 하는데, 최근 진핵생물에서도 후성유전학적 기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녹주류인 클라미도모나스의 ... ...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6.23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장 마르탱 샤르코(Jean-Martin Charcot) 교수(왼쪽)가 히스테리성 환자(
오른쪽
) Blanche Marie Wittman을 최면술을 이용해 치료하고 있다. 환자를 부축하고 있는 사람은 조셉 바빈스키. - wikipedia 제공 ● 최면을 믿지 마세요 “에휴,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다고 이 고생을 하나.” ... ...
신약 후보물질 골라내는 데 현미경 하나면 끝!
2015.06.22
움직이는 정도가 40% 정도까지 떨어졌다. 포스텍 연구진이 이번에 발견한 모델(
오른쪽
)과 기존 샤프만-델브룩 모델. 기존 모델에서는 외부 물질이 세포막에 붙어도 막 단백질의 움직임이 변하지 않는다고 알려졌지만, 이번에 연구진은 물질이 붙으면 막 단백질의 움직임이 느려진다고 발표했다 ... ...
[메르스 업데이트] “한국, 사스와 에볼라 때 겪었던 과오 반복해”
2015.06.21
고스틴(왼쪽 사진)과 다니엘 루시 교수(
오른쪽
사진)가 한국의 메르스 대응에 대한 일침을 가했다. - 미국 조지타운대 제공 전국에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출국자들을 대상으로 발열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로렌스 고스틴 미국 조지타운대 ... ...
더위먹은 타이어, 공기압 부족땐 ‘펑’
동아일보
l
2015.06.19
을 열면 보이는 하얀색 통 세 개를 점검해야 한다. 왼쪽에는 워셔액 통과 냉각수 통이,
오른쪽
위에는 브레이크 오일 통이 있다. 장마철에는 워셔액 소모가 많아지므로 미리 양을 확인하고 보충하는 게 좋다. 비상시에는 생수를 쓸 수도 있다. 워셔액과 반대로 냉각수에는 이끼가 낄 수 있으므로 ... ...
[포토] 우주에서 봐도…말라도 너무 말랐네
2015.06.18
2호가 2012년 4월 20일 촬영한 소양호(왼쪽)와 아리랑 3호가 이달 17일 촬영한 소양호(
오른쪽
). 수량이 확연히 줄었고 강바닥 면적이 넓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8일 가뭄으로 말라가는 소양호를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와 ‘아리랑 3호’로 ... ...
뇌중풍으로 마비된 몸 자꾸 움직이라는 이유
2015.06.12
어렵다. 이 경우 자신도 모르게 왼쪽 손발을 주로 쓰게 된다. 하지만 이는 마비된
오른쪽
신체의 회복을 저해해 재활에 도움이 안 된다. 최근 재미(在美) 한국인 과학자가 그 이유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김수영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원은 뇌중풍 환자가 신체의 마비된 부위 대신 ... ...
쉬면서도 페이스북 자꾸 보고 싶은 이유는?
2015.06.09
설명문(왼쪽)을 평가할 때 배내측전전두엽피질의 변화는 없었지만, 감정을 묘사한 사진(
오른쪽
)의 설명문을 평가할 때는 활성화됐다. - UCLA 제공 그 결과 사람의 감정을 묘사한 설명문을 볼 때에만 사람의 휴식 중에도 활성화되는 부위인 배내측전전두엽이 활성화되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방해하는 약물을 투입할지라도 엔그램 세포 형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오른쪽
). 빛을 쪼여 이 엔그램 세포를 활성화하면 기억상실인 쥐도 공포를 느낀다. - 사이언스 제공 도네가와 교수팀은 그 뒤에도 기억에 관한 놀라운 연구결과들을 연이어 발표했다. 2013년에는 가짜 기억을 만들 수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