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진으로 돌아보는 허블 우주망원경 25년의 기록
2015.04.23
. 1991년 촬영한 은하 NGC4261중심부에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른쪽
). - NASA/ESA 제공 허블 우주망원경이 보내온 사진들은 지구에서는 찍을 수 없을만큼 선명했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다. 주 거울의 초점이 잘 맞지 않아 화질이 기대만큼 선명하지 않았던 것. 허블 ... ...
휘어지는 투명 스마트폰, 도장 찍듯 ‘꾹’ 찍어 만든다
2015.04.22
교수(가운데)는 김나라 연구원(왼쪽), 강홍규 박사(
오른쪽
)와 함께 도장을 찍듯 간단히 만들 수 있는 투명전극을 개발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유리처럼 완전히 투명한 스마트폰을 값싸게 제작 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광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 ...
손가락 꺾을 때 ‘두두둑’ 소리 나는 이유 찾았다
2015.04.19
다양한 관절 치료나 재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가락을 잡아당기자(
오른쪽
) 관절 사이 공간이 늘어나며 내부를 채우고 있는 '활액'에 빈공간이 생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캐나다 앨버타대 ... ...
젖산은 ‘피로물질’ 아니라 암세포 키우는 물질
2015.04.17
것”이라고 말했다. NDRG3 단백질은 산소가 풍부할 때(왼쪽)와 산소가 부족할 때(
오른쪽
) 분해되는 정도가 다르다. 산소가 부족할 때 NDRG3 단백질은 젖산(Lac)과 결합해 암을 악성화시킨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1860년대 프랑스 외과의사인 폴 브로카는 *뇌전증에 걸린 환자를 만났어요. 이 환자는
오른쪽
몸 전체가 마비됐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말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나 지능은 보통 사람과 같았답니다. 브로카는 이 환자가 세상을 떠난 뒤에 뇌를 해부했는데, 왼쪽 뇌의 이마엽 ... ...
옆으로 자면 녹내장 위험, ‘안압 상승 최대한 피해야’…“평소 예방 및 조기 발견 중요”
동아닷컴
l
2015.04.13
사람은 양쪽 안압이 16.2로 같았다. 반면
오른쪽
으로 누워 잔 사람은
오른쪽
안압이 17.7,
오른쪽
으로 엎드려 잔 사람은 19.4까지 증가했다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머리 위치가 낮을 때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눈 안압이 추가적으로 상승했다. 낮은 베개를 이용하면 옆으로 누울 때 어깨 넓이로 ... ...
남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성형수술 2가지는?
2015.04.12
전(왼쪽)과 성형 후(
오른쪽
). 평가자들은 성형 후의 모습에서 더 큰 호감과 매력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 조지타운대 제공 주름제거시술과 처진 눈꼬리를 다시 올려주는 성형이 타인에게 더 좋은 인상을 준다는 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레일리 미국 조지타운대 의대 교수팀은 부위별 성형 수술 중 ... ...
약지 긴 남자, 매력 넘치는데 ‘체력’도 강하다
2015.04.09
있다”고 말했다. 당신의 손가락 비율은? 위키미디어 제공 손가락 길이는
오른쪽
사진처럼 아래쪽 마디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측정하면 된다. 검지의 길이를 약지의 길이로 나눴을 때 나오는 값을 기준으로 삼는다. 2005년 베일리 허드 캐나다 앨버타대 심리학부 교수팀은 평균값이 남성의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피부를 굳게 만들어 자신을 보호하고(위 왼쪽) 위협이 사라지면 다시 말랑말랑해진다(위
오른쪽
). 여기서 힌트를 얻어 건조할 때는 네트워크(빨간 선)로 단단하고(아래 왼쪽) 수분을 머금으면 네트워크가 깨져 말랑말랑해지는(아래
오른쪽
) 재료가 개발돼 뇌조직에 심는 미세전극으로 활용하는 ... ...
“통합수능 봐야만 창의적 인재 되나?”
2015.04.07
수능까지 바꿀 필요 없어”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오른쪽
사진)는 이날 발표에서 “정부가 시행하고자 하는 교육은 ‘통합’이라는 이름으로만 바뀌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능통합에 관련해 정부 당국에서 아무것도 내 놓은 것이 없어 ‘깜깜한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