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6건 검색되었습니다.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지자기 센서는 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을 인식해서 남쪽이면 왼쪽 전극이, 북쪽이면
오른쪽
전극이 실시간으로 뇌의 시각피질에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 이케아야 유지 교수 제공 ... ...
[포토뉴스] ‘아리랑’ 위성이 촬영한 소양강… “강줄기가 다 말랐네”
2015.04.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최근 중부지역 가뭄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강원 춘천 소양강댐 지역의 인공위성 사 ... 있고 물줄기도 흐릿하게 보인다. 앞서 2년여 전인 2012년 12월 아리랑2호로 촬영한 사진(
오른쪽
아래)에서는 짙푸른 강줄기가 뚜렷하게 보인다.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여러 이성과 교미를 하는 공작(왼쪽)은 단 한명과 교미를 하는 오리(
오른쪽
)와 달리 암수간 유전자와 겉모습의 차이가 크다. - Wikimedia 제공 공작새의 화려한 깃털, 사자의 갈기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존에 다소 불편한 형태이지만 번식에 유리할 경우 진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따라 배치한 샐러드(왼쪽)가 한데 모아놓은 경우(가운데)나 개별 식재료로 나열한 경우(
오른쪽
)보다 더 맛이 좋다고 평가됐다. - Flavour 제공 실제로 풍미의 공감각적 지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됐는데 결과를 보면 수긍이 간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단맛이 나는 음식을 고음과 피아노 소리에 ... ...
유방재건술 1일부터 건보 적용… 뇌종양-간질 뇌기능 검사도 혜택
동아일보
l
2015.03.30
동아일보] 복지부, 의료비 경감 확대 지난해 12월
오른쪽
유방암으로 유방 절제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 중인 김모 씨(41)의 가장 중요한 인생 목표는 유방 재건술을 받는 것이다. 김 씨는 “암의 재발을 막기 위해 유방을 절제했지만 아직까지 유방 없이 사는 건 생각해 보지 않았다”며 “꼭 유방 ... ...
값싸고 휘어지는 저가 태양전지 나온다
2015.03.29
KAIST 교수(왼쪽)와 우한영 부산대 교수(
오른쪽
) - KAIST 및 부산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여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섰다.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우한영 부산대 나노융합공학과 교수팀은 고분자로만 이뤄진 플라스틱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사람의 지문과 연구진이 지문을 모사해서 만든 인공 미세지문(
오른쪽
위). 연구진은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지름으로 여권 식별자용 인공 미세지문을 만들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사람 지문처럼 복제가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을 만들어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발암물질에만 반응하는 초고감도 센서 개발
2015.03.23
연구진이 개발한 휘발성유기물 측정 센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구성한 실험 장치.
오른쪽
동그라미 안에 단백질 조각을 넣은 마이크로센서가 들어가며 센서를 넣은 마이크로칩의 크기는 1cm보다 작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해부도가 엄선돼 실렸다. 또 해부용어는 해부도 위가 아닌
오른쪽
페이지에 따로 실려 해부도에만 집중할 수 있다. 자세한 해설과 임상에서 중요한 부분도 따로 정리했고, 책장마다 질문과 답변을 넣어 해부학 공부의 흥미를 더했다. 가로 128mm, 세로 182mm. 책을 한 손에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 나노돌기를 만든 유리에 코팅을 하면 초소수성 표면이 돼 물이 아예 달라붙지 못한다(
오른쪽
). 물이나 기름 등 이물질이 묻지 못하는 초소수성 유리는 자동차 전면유리, 휴대전화 화면 등에 쓰일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안경을 낀 채 뜨거운 라면을 먹다 보면 렌즈에 김이 서려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