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전지에 투명물질 코팅했더니 효율 2배 ↑
2015.02.02
코팅한 모습(왼쪽). 질화규소 층을 입힌 나노선 태양전지는 광전류가 80% 정도 증가했다(
오른쪽
).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그 결과 나노선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증가해 태양전지의 광 흡수율도 2배가량 증가했다. 나노선 태양전지 소자는 부피가 작아 전체 광 흡수율이 떨어지는 태생적인 ... ...
이제는 적외선까지 3D로 감지
2015.02.02
에너지의 3차원 분포 지도를 제공하는 허셜 장비.
오른쪽
에서 두 번째가 연구진을 이끈 앤서니 로빈슨 교수다. - 세라믹스 제공 물체가 방출하는 열선, 즉 적외선을 감지하는 기술이 진화를 거듭하며 3차원(3D)으로 열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까지 등장했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대는 앤서니 ... ...
당신이 넘어지지 않는 건 ‘뇌’가 아니라 ‘허리’ 때문
2015.02.01
연구에 참여한 솔크생물학연구소 굴딩 교수팀. 맨
오른쪽
이 마틴 굴딩 교수다. - 살크연구소 제공 가느다란 평행봉 위에 서거나 얼음판을 걸을 때 넘어지지 않는 이유는 대개 뇌가 평형감각을 유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균형감각은 뇌가 아닌 척추신경 덕분이라는 사실이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것으로 추정됩니다. ● 육식이 부른 또다른 진화 왼쪽은 170만 년 전의 여인 KNM-ER 1808.
오른쪽
의 330만 년 전 여인 루시와 비교해 보면 두뇌와 몸집이 훌쩍 커졌다. - 이상희 교수 제공 고기를 먹기 시작하자, 인류에게는 놀라운 일이 일어났습니다. 기름진(고지방)식품 섭취에 힘 입어 초기인류의 ... ...
한국공학한림원 일진상·해동상 수상자 발표
2015.01.25
이종희 모다정보통신 회장(왼쪽)과 권오갑 한국기술경영연구원장(
오른쪽
)이 일진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한국공학한림원은 이종희(66) 모다정보통신 회장과 권오갑(68) 한국기술경영연구원장을 제11회 일진상 수상자로, 선우명호(62) 한양대 교수와 이석봉(54) 대덕넷 대표를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말했다. 온화한 성격의 차도현(지성) 속에는 폭력적이고 야심찬 다른 인격 신세기(
오른쪽
)를 비롯해 7명의 인격이 살고 있다. - 팬엔터테인먼트 제공 ● 편도체와 해마 작은 게 원인일 수도 해리성 정체 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뇌의 해부학적인 차이에 ... ...
‘슈퍼지구’ 내부는 이렇게 생겼구나
2015.01.23
‘슈퍼지구’(
오른쪽
아래) 상상도. 슈퍼지구 내부에 암석이 녹아 만들어진 ‘마그마의 바다’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사이언스 제공 미국 연구진이 ‘슈퍼지구’ 내부에나 있을 법한 ‘우주 물질’을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슈퍼지구는 태양계 ... ...
뜨개질 도와주는 수학
2015.01.21
뜨개질에서 실이 엮이는 형태를 나타낸 3D 모델(왼쪽)과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니트(
오른쪽
). 수학을 이용해 뜨개질을 3D 모델로 만들면 컴퓨터 그래픽으로 니트를 실제처럼 표현하는 방법도 찾을 수 있다. - 수학동아 제공 간단한 물체가 아닌 복잡한 물체, 혹은 엄청나게 큰 물체를 짤 때는 어떤 ... ...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왼쪽은 KAIST 최성율 교수팀의 논문이 실린 ‘스몰’ 표지이며,
오른쪽
은 조길원 포스텍 교수팀의 논문이 실린 ‘나노스케일’ 표지다. - Small, Nanoscale 제공 최근 손목에 차는 스마트시계를 비롯해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보편화 되고 있는 가운데 첨단 웨어러블 기기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파라방법에는 반영되지 못하고 EMGO방법에는 지나치게 반영돼 있다. 아래는 y=1-x 기준에서
오른쪽
으로 치우친 곡선으로 대칭인 곡선에 비해 같은 오작동확률일 때 적중확률이 높으므로 역치가 다소 내려가야 하는데 피타고라스정리를 이용한 방법이 이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다. - 플로스원 제공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