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6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아파렌시스’(왼쪽). 침팬지만 한 두뇌를 가졌고 도구를 쓰지 못했다.
오른쪽
은 현생인류 모형. - 과학동아 제공 인류의 또다른 특징이라고 이야기하는 도구. 최초의 인류는 도구를 사용했을까요. 정답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입니다. 인공적으로 만든 석기는 250만 년 전부터 발견됩니다. 최초의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개의 구멍을 지난다고 했잖아요!” 물론 사기가 아니다. 사진을 보면 전자는 왼쪽 또는
오른쪽
, 분명 하나의 구멍을 지난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관측을 하면서 이중슬릿실험을 하면 스크린에는 줄이 두 개만 생긴다. 구멍이 두 개고 입자(전자)는 그 중 하나만 지나간다. 따라서 입자의 성질대로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관절염에 걸린 쥐는 염증 반응으로 다리가 붓지만(왼쪽)는 신약 후보물질로 치료받은 쥐(
오른쪽
)는 다리가 붓지 않았다. - 연세대 제공 연구팀은 실험용 쥐를 이용해서 이 인공 단백질의 효과를 검증했다.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쥐는 60일 만에 염증이 가라앉았고, 다발성 경화증 쥐에서는 6일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노란색) 용적과 관련이 있다. 실험 결과 회질이 클수록 수학 실력이 더 많이 향상됐다(
오른쪽
). - 뉴런 제공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뇌의 능력을 극대화해 미래를 예측하는 예지력을 모티브로 삼아 뇌과학의 발전이 가져올 암울한 미래를 그렸다. - 이십세기폭스코리아 제공 ● 범죄 가능성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크라피나 유적에는 네안데르탈인이 식인 풍습을 가졌다고 보고 동상을 복원해 놨다.
오른쪽
이 필자이고 왼쪽은 야코브 라도브치치 크로아티아 국립박물관장이다. - 이상희 교수 제공 1999년 프랑스의 물라-게르시의 네안데르탈인 유적에서 칼자국이 나왔고, 스페인의 아타푸에르카 유적의 중기 ... ...
70대 노인도 운동이 보약… 심폐질환 사망위험 절반으로
동아일보
l
2015.01.02
적용되는 치료 항목 내에서는 무료 진료를 받게 된 것. 하지만 상태는 심각했다.
오른쪽
눈은 백내장이 심해 시야가 흐려졌다. 근육량과 관절 기능이 떨어져 몸의 움직임도 현격하게 떨어진 상태다. 김 씨는 “포기하지 않고 병원에 갈 방법을 조금 더 빨리 찾아볼걸” 하며 후회했다. 오상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대표적인 호메오유전자 돌연변이체들. 더듬이가 날 자리에 다리가 달린 안테나페디아(
오른쪽
위)와 날개가 넷 달린 변이체(
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유럽에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이런 ... ...
개미는 우파(右派)일까, 좌파(左派)일까
2014.12.24
밝혀내고 ‘생물학 레터스(Biology Letters)’ 2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미를 왼쪽과
오른쪽
으로 나뉘는 갈림길 앞에 두고 개미가 어느 쪽을 선택하는 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가보지 않은 갈림길을 만났을 때 개미는 유효 검증 수준 이상으로 왼쪽 길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개미는 ... ...
암세포 ‘에너지 공장’만 골라 죽이는 항암물질 개발
2014.12.23
항암제인 ‘세라노스틱7’을 주입하지 않은 쥐(왼쪽)와 ‘세라노스틱7’을 처방한 쥐(
오른쪽
)의 암세포 덩이 크기 비교. 표적 항암제를 처방한 쥐에서 암세포의 수가 확연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 고려대 제공 연구팀은 이 표적 항암제에 ‘세라노스틱7’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치료(therapy)와 ... ...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기술로 극~복~
2014.12.22
양자점 발광소자를 현미경으로 본 모습(왼쪽). 발광 소자는 세계 최고 밝기를 나타냈다(
오른쪽
). - KIST 제공 연구팀은 양자점 사이에 나타나는 에너지 전달 현상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찾아 실제로 적색 양자점 발광소자를 제작했다. 이 적색 소자는 세계 최고 밝기인 10만 니트(nit·밫의 휘도를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