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마츄어
비전문가
애호가
호사가
문외한
미숙자
평신도
d라이브러리
"
아마추어
"(으)로 총 483건 검색되었습니다.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
과학동아
l
199908
웹진들이 있다. 창작과 비평분야에서 외국 못지 않게 많은 글들이 올라오기도 한다. 특히
아마추어
모임인 ‘한국 SF 협회’에서 내년 2월을 예정으로 ‘제1회 한국 SF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http://www.koreacon.org). 이 대회가 SF에 대한 인식 변화와 동호인의 저변 확대는 물론 우리나라 SF의 수준을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07
2천 광년이나 떨어져 있어 겉보기 크기가 매우 작다. 중심별은 너무 어두워(15.4등성)
아마추어
들이 사용하는 망원경으로는 보기 어렵다.3. 독수리자리(Aquilla)● 대략위치 : 적경=19시 37분● 적위= +2.5도●자정남중일 : 7월 24일●크기 : 652도, 22위(1.582%)● 보이는 별 수 : 47개독수리자리는 여름 하늘의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07
위성개발팀에게 “첫번째 인공위성은 천체의 모습에 가깝도록 제작해야 하며,
아마추어
햄들이 라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가능한 한 육안으로 볼 수 있기를 바랐다.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스푸트니크 1호는 라디오 송신장치를 단 지름이 58cm인 공 모양의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수 있다고 예측했다.르바리에에게 수성 안쪽에 행성이 있다는 확신을 갖게 한 것은
아마추어
천문가인 레카보였다. 레카보는 1859년 르바리에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1859년 3월 26일에 태양을 가로지르는 검은 점을 발견했다고 썼다. 레카보는 관측을 토대로 지름은 수성보다 작고 질량은 수성의 1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04
부인과 함께 밤하늘여행을 떠난다고 한다. 과학문화운동을 몸소 체험해보려고 한 것이
아마추어
가 돼버린 것이다. 언론계, 재계, 정치판을 누볐던 호랑이가 해가 지면 떠오르는 금성, 목성, 시리우스를 가리키며 별 이야기를 하는 것도 아름다운 일이다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04
행성은 그 앞에 나타나지 않았다.로웰의 꿈은 클라이드 윌리엄 톰보(1906-1997)가 이뤄냈다.
아마추어
천문가인 톰보는 너무 가난해 대학을 진학하지 못했다. 그는 손수 거울을 닦아 9인치 망원경을 만들고, 밤마다 자신이 만든 망원경을 들여다보면서 목성과 행성을 스케치하는 일이 취미였다. 그는 ... ...
제7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과학동아
l
199904
그 동안 상당한 관측기술을 습득하고 개인적인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추어
천문 동호회인 ‘별부스러기’의 회장을 맡고 있는 윤씨는 작년에도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다.천문대는 올해 사자자리 유성우 같은 대형 천문 사건이 싱겁게 끝나 큰 호응을 기대하지 않았으나 예년과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필름 단계 거쳐최초의 필름을 만들어 사진을 찍은 사람은 19세기 초 프랑스
아마추어
화학자 니에프스다. 주석과 납의 합금판 위에 감광성 용액을 입혀 필름으로 사용했다. 1827년 6월 경 작업장 창에서 밖의 경치를 촬영했는데, 노출시간이 약 8시간에 달했다. 여기에 적절한 용액을 처리하자 희미하게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01
갖게 될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이에 자극을 받은 천문학자들과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막연한 기대를 버리고, 중소도시 별 축제 같은 대중과 함께 하는 행사를 진행하며 혜성 축제를 벌이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그 결과 사자자리 유성우 같은 천문 현상에 많은 국민이 ... ...
밤하늘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199812
17세기 중엽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제미니아노 몬토나리였다. 그 후 1783년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구드릭은 알골이 2일 20시간 49분마다 2.3등급에서 3.4등급까지 변광한다는 것을 밝혔다. 당시 구드릭은 불과 17살의 귀머거리 소년이었다고 한다. 그는 또 알골 둘레를 도는 또 하나의 별이 있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