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 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모델링하는 방법을 배워 봤어요.● 모델링을 하고 나면 아이템을 몸에 딱 맞게 제작하는
과정
이 필요해요. 제페토 앱의 설정으로 들어가 ‘크리에이터 되기’를 누르면, ‘가이드’에서 아바타의 몸통과 머리카락을 담은 파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어요. 이 파일에는 아바타의 몸과 아이템을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윗부분이 별 모양으로 갈라지며, 내부에 있던 포자 덩어리가 밖으로 드러납니다. 이
과정
에서 공버섯은 효소●를 통해 내부의 압력 차이를 만들며, 공버섯 내부의 막을 급격히 팽창시키면서 포자덩어리를 1~6m가량 날려 보내지요. 찻잔을 닮은 찻잔버섯류 공버섯에 버금갈 정도로 독특한 버섯이 ... ...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없는 5개의 독특한 미생물을 갖고 있었지요. 연구팀은 “어린이가 성장하는
과정
에서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면 자폐 스펙트럼을 예측해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동양인의 장내 미생물 특성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미생물 혁신센터장인 프랜시스 첸 교수는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관해서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어. 김강래 박사는 “이번 연구는 미유기의 알 부화
과정
을 연구한 첫 사례”라며 “미유기 종의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편집자 주] 제페토는 10대 청소년이 많이 사용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어과동은 독자들이 안전하고 즐겁고 창의적으로 메타버스를 즐길 수 있 ... 적용해 움직이는 아이템을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지요. 이번 시간에는 3D 아이템 제작
과정
중 3D 모델링을 하는 방법을 먼저 알아봐요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냄새를 맡은 곤충들은 그 즉시 버섯 위에 앉아 점액질을 정신없이 빨아 먹습니다. 이
과정
에서 말뚝버섯류의 포자가 곤충의 몸에 묻거나 뱃속으로 들어갑니다. 말뚝버섯류의 점액질엔 설사약 같은 효과가 있어 곤충이 포자를 완전히 소화시키기 전에 포자들이 밖으로 나오죠. 말뚝버섯류의 포자가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앞면이냐 뒷면이냐! 온전히 운에 맡긴 결정을 하고 싶을 때 우린 ‘동전 던지기’를 한다. 어떠한 편견도 실력도 꼼수도 통하지 않는 공정한 의사 결정 방식이란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0월 전 세계 48명이 무려 35만 757번이나 동전을 던져 이 믿음을 깨버리는 연구 결과를 논문 공개 사이트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우리에게 친숙한 동전 던지기는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복잡한 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과정
이란 사실을 알 수 있었다”면서, “동전 던지기를 할 때 서로 위로 향한 면이 무엇인지 모르면 공정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동전 던지기를 앞으로 이용하지 말아야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신호를 주게 했어요. 그는 를 비롯한 과학책을 많이 읽은 것이 발명
과정
에서 마주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합니다. 센서 전체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모의실험 프로그램으로 따져봤는데, 그 프로그램은 전선 자체에 있는 저항을 계산하지 않아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들어오면 다양한 염증 사이토카인을 유도해 침입한 RNA를 파괴하고,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
을 억제하는데 이것이 선천면역반응이다. 백신을 만들려면 이 선천면역반응을 회피해야 한다. 두 과학자는 2005년, 변형된 뉴클레오사이드를 재료로 mRNA를 만들어 인체에 투입하면 선천면역반응을 줄이고,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