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시
멸시
냉대
경멸
업신여김
모멸
도외시
d라이브러리
"
무시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멀티플레이어’ 뇌의 선택과 집중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반대로 소리 자극을 따라 이동했다. 특정 자극을 중요시 할 때, 다른 종류의 자극을
무시
하는 것이다.다음에는 빛과 소리 자극이 동시에 주어질 때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쥐의 뇌 특정 부위를 비활성화시켰다. 실험 결과 전두엽피질을 비활성화시켰을 때와 시상망상핵(TRN)을 ...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시간동안 진동시키자 진동면이 한 방향으로 조금씩 돌아갔다. 이론적으로 공기의 저항을
무시
하면, 진자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실의 장력뿐이므로 진자는 일정한 진동면을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진동면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고 있다면? 이것은 결국 땅이 회전하고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남은 독은 평소보다 적을 수밖에 없다.하지만 독의 양이 적다고 해서 ‘가을 살모사’를
무시
해서는 안 된다. 용혈독(핏속 적혈구를 파괴하는 독소)과 두 가지 종류의 신경독(신경조직을 파괴하는 독소)이 있어서, 운이 나쁘면 일주일 동안 병원 신세를 져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컵라면보다 빨리!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차들도 서행을 한다면 간격이 좁아져 전체 행렬이 10m 이내로 줄어들 수 있다(차량 길이를
무시
한다고 가정하자). 마찬가지로 원래라면 수 km에 달하던 펄스가 느린 빛으로 변하면 수 mm가 된다. 정보가 압축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정보를 저장했다고 부를 수는 없다. C-A-T를 아무리 늘리고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오브 이뮤놀로지’에 발표한 논문➌(goo.gl/7MrU5O)에서 관용을 네 가지로 구분했다. 첫째는
무시
와 침묵이다. 면역계가 장내 미생물을 공격하지 않는 사례, 뇌․눈․생식세포에서 염증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사례가 여기 포함된다. 둘째는 병원균이 내뿜는 독성이나 숙주의 면역물질이 세포를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있었다.“사실 얼마 전에 이런 우편물이 전시장으로 왔었어요. 장난 편지인 줄 알고 그냥
무시
했는데, 혹시 이 편지가 무슨 관련이 있는 걸까요?”썰렁홈즈는 매와 같은 탐정의 눈으로 쪽지를 뚫어져라 쳐다보는데….미션2 금고를 열어라!이미 예고됐던 범죄였다는 걸 알아낸 썰렁홈즈는 이번에는 ... ...
야구는 수학 놀음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전략을 구상한다. 그리고 결국 반대 방향을 노리거나 번트를 댈 때의 성공률과 시프트를
무시
하고 하던 대로 했을 때 성공률이 균형을 이루게 될 것이다.야구 속 ‘확률’지난 3월 수학동아에서는 올 시즌 한국 프로야구 순위를 예측했다. 이 때 사용한 지표는 빌 제임스가 고안한 피타고리안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논문을 내는데, 그동안 애벌레버섯과 등 7개 과(科)를 정리했으니 연구업적도
무시
못 할 수준이다.돋보기 대신 카메라정 박사는 여러 면에서 파브르를 연상케 한다. 우선 늦은 나이에 학위를 땄다. 41살이던 2003년 성신여대 생물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2008년 곤충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류학계와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들이킨 B가 말을 잘랐다. “학자들만 파브르를
무시
한 게 아니라 파브르도 다른 학자들을
무시
했어. 고집과 오만이 있었지.”#6 나는 평생 끈질기게 곤충을 관찰하고 실험했다. 남이 연구한 건 잘 믿지 않았다. 철저히 내 눈으로 본 것만 믿었다. 노래기벌이 비단벌레를 죽이지 않고 마취시킨다는 것도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one of them외계행성계는 그동안 사람들이 ‘진리’라고 여겼던 태양계의 법칙들을 가볍게
무시
하고 있다. 태양계 내에서는 밀도가 큰 암석형 행성이 태양 근처에, 밀도가 낮은 가스형 행성은 태양에서 먼 곳에 있다. 하지만 외계행성계에서는 이런 순서가 뒤죽박죽이어서 목성형 행성처럼 덩치가 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