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20MW급으로 최신 기술을 적용해 만든다. 사용하는 핵연료의 우라늄-235 비율을 유지한 채 밀도를 높여 더 효율적이고, 제어봉을 아래에 설치해 위쪽의 작업 공간이 더 넓다.계획대로 된다면 우리나라는 앞으로 50년간 20여 기의 연구로를 수주할 수 있다. 원자력 기술 강국의 길로 들어서는 셈이다. ... ...
- 아토피 피부염, stop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8호
-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지요.음식도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답니다. 계란, 우유, 밀, 땅콩, 새우 같은 것이 대표적이죠.먹으면 안 되는 음식 찾기사람마다 면역세포가 예민하게 반응하는 음식의 종류는 다르답니다. 음식에 아무 반응도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먼저 어떤 음식에 ... ...
- 옥수수의 무한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지 찾아보렴. 이렇게 빨리 찾아내다니! 그래, 나는 식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어. 벼, 밀과 함께 세계 3대 식량작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단다. 멕시코에서는 옥수수로 둥글고 납작한 빵인 ‘또띠야’를 만들지. 이 빵은 멕시코 사람들의 주식이란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나를 ... ...
- Part 2. 유기농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일으키는 해충인 애멸구는 논둑의 화분과 잡초에 서식하다 봄에 보리, 밀을 거쳐 벼까지 옮겨온다. 이 경우 논둑에 허브를 심으면 자연스럽게 막을 수 있다. 콩밭 주변에 코스모스나 메리골드 같은 꽃을 심으면 천적 노린재는 떠나고 나비가 날아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경기도 이천에서 실험한 ...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짐작하듯이 이 지역은 대부분 평야다. 중국 최대 곡창지역의 하나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밀과 옥수수가 각각 중국 전체 생산량의 50%와 33%를 차지한다. 이렇게 중요한 곡창지역이 사막일리는 없다. 그럼, 왜?[동아일보 황사조사단의 연구원이 2003년 중국의 건조 지역에서 추수 뒤의 밭을 살펴보고 있는 ... ...
- 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물질이 형성되고 이를 가열해 성형하면 친환경 옥수수 전분 플라스틱이 탄생한다. 밀, 쌀의 전분을 이용해서도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 제조 원가가 저렴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의 체내에 축적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추출해 제조한다. 플라스틱과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 연구책임자)는 “지구의 밀도 등의 특성때문에 지상에서는 1초에 1번 또는 그 이하로 땅이 진동하는 특성이 있다”며 “라이고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충격 흡수장치)처럼 스프링을 설치해 진동수를 더 낮게 바꿔서 이 문제를 피해가지만, 더 ...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6호
- Eddy)’를 촬영한 모습.]▼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 ...
-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생각할 수 있으면 더 좋다. 빛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입자를 만나게 된다면 더 밀한 매질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실험 문항을 대비하는 학습법실험과 연관된 문항을 풀기 위해서는 실험을 많이 해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이 가장 좋다. 단순히 지식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험을 진행하는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여기에다 *케플러법칙과 *활력방정식 같은 수학적 계산을 거친 뒤에야 행성의 질량과 밀도를 알 수 있다.이런 수학적 방법을 이용해 지금까지 모두 2,326개의 외계 행성을 찾았다. 이 중 48개의 행성이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여겨진다.*케플러법칙 : 행성의 운동에 대한 물리법칙. 행성의 운동을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