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꼬슴 VS 도치, 승자는 누구?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또치가 또 새로운 내기를 시작했나 봐요.잠시 자리를 비운 로몬이를 대신해, 여러분이 심판이 되어주세요! 가능성을 비교하라! 꼬슴이와 또치는 ‘가능성 맞히기’ 내기를 했어요. 여러 가지 돌림판을 보고 각각의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올바르게 표현한 횟수가 더 많은 쪽이 이겨요. 누가 ... ...
- [광고] 출간 20주년 기념 특별판으로 만나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몰아가기까지 하죠. 설상가상으로 시민들마저 갑자기 서로를 공격하며 난동을 부리기 시작합니다. 이성을 잃은 사람들로 소스시티는 대혼란에 빠져요. 오공은 정신을 차리고 소스시티 시민들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을까요? 2003년 첫 출간 이후 수많은 모험을 떠났던 손오공! 이번 20주년 특별판에선 ... ...
- [통합과학교과서] 형제가 놀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먼지나 수소, 헬륨 등 물질이 퍼져 있어요. 별은 이런 물질이 많이 모여 있는 성운에서 시작됩니다. 성운 근처에 무거운 천체가 지나가는 등 충격이 발생하면, 성운에서도 특히 물질이 많이 모여 있는 밀도가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여러 원시별이 탄생합니다. 원시별은 중력 때문에 중심부로 계속 ... ...
- [과학 뉴스] 로봇 슈트로 우사인 볼트의 세계기록 깰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될 것이라 예상했던 것과 반대되는 결과였습니다. 연구팀은 “로봇 슈트가 달리기를 시작할 때 가속을 도와, 최대 질주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존의 로봇 슈트는 착용자가 사용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데 목표를 두었지만, 이기욱 교수팀은 로봇 슈트로 인간의 신체 ... ...
- [광고] 읽기만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일화에 담겨 있는 과학 원리와 지식을 잘 전달하고 있죠. 특히 4권에서는 미생물을 시작으로 세균과 전염병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수천 년간 인류를 괴롭힌 무서운 전염병인 천연두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천연두의 예방법이었던 종두법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종두법은 소에게 난 종기에서 ... ...
- [광고] 김군과 함께하는 트랙 대모험!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멋진 트랙을 쉽게 완성할 수 있습니다!” 그래비트랙스 수업은 김군 선생님의 꿀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독자 기자단은 김군 선생님의 시범을 따라 첫 트랙으로 ‘왔다 갔다 마그네틱 캐넌’을 만들었어요. 왔다 갔다 마그네틱 캐넌은 액션 스톤이 마그네틱 캐넌 확장을 만나 그 힘을 이용해 ... ...
- [기획] 항생제, 먹으면 감기 빨리 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당시에는 종기 같은 아주 사소한 세균 감염으로도 사람들이 사망했는데, 페니실린을 시작으로 다양한 항생제가 개발되며 많은 세균성 질병을 치료할 수 있었어요.그러면 감기에 걸렸을 때도 항생제를 먹으면 더 빨리 나을까요? 감기는 세균이 아니라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에요. 코나 ... ...
- [똥손 수학체험실] 내가 바로 정리의 달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의식*도 가질 수 있어요. 내 물건을 한곳에 모았다면, 기준을 정하고 그에 따른 분류를 시작해요. 기준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지만, 어떤 기준이든 분명하게 세워야 해요. 분류의 기준이 분명하지 않으면 분류한 결과가 때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이에요. 책상 정리를 할 때는 ‘사용 ... ...
- 물리박사 김상욱의 수상한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분야예요. 물리 공부는 우리 주변에서 바로 보이고, 만질 수 있는 친숙한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책을 읽고 여러분에게 물리와 과학이 재미있다는 기억이 남는다면, 더 바랄 게 없을 것 같아요. ※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고등학생 때 읽은 물리학 책 한 권 때문에 물리학자의 ... ...
- [2023 이그노벨상] 시상식으로 초대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치든 무언가를 먹든 마음껏 하십쇼! 대신, 종이비행기를 준비하세요. 이제 곧 시상식이 시작될 테니까요!” 이그노벨 이사회 회원이자 생명공학자인 키이라 리 라이스 박사가 이 같이 외치며 화면을 향해 종이비행기를 날렸어요. 이그노벨의 전통인 종이비행기 세리머니를 보여주며 올해로 33번째를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