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삼엽충 이마 가운데서 최초로 ‘홑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망막으로만 덮인 하나의 눈으로 빛을 모으는 공간인 유리체가 없어 주변 빛을 감지하는
역할
만 하죠. 잠자리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개의 큰 눈은 ‘겹눈’이에요. 수십~수천 개의 ‘낱눈’이 벌집 모양으로 모여 생긴 눈으로, 수정체와 시세포를 갖고 있어 사물의 형태와 색깔을 감지할 수 ... ...
[4컷 만화] 아미노산으로 생분해성 유리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아미노산과 펩타이드를 이용했어요. 연구팀은 아미노산과 펩타이드에 분자를 보호하는
역할
을 하는 아세틸기 등을 붙여 열에 의해 분해되지 않도록 했어요. 그리고 유리를 만드는 기존 방법을 그대로 적용해 일반 유리처럼 투명하고 입자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체가 만들어지는 것을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같은 콘텐츠를 즐기는 일이 많아졌어요. 한류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된 건 OTT의
역할
이 크죠. 우리가 전 세계의 작품을 볼 수 있듯, 전 세계인들도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를 즐길 수 있게 되었거든요. OTT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된 영화나 드라마뿐 아니라 어린이를 위한 재미있는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권 교수는 “컴퓨팅은 클라우드에서 하고, 기기는 사용자의 눈에 공간을 보여주는
역할
만 수행하는 개념으로 가야 한다”면서 5G, 6G 등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을 제안했다. “스마트폰이 안경으로 대체되는 거죠. 지금의 두꺼운 XR 헤드셋보다 더 가벼운 스마트 글래스가 나오면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도입한 디자인 작업입니다.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디자이너의
역할
이 갈수록 중요해질 겁니다.” 6월 27일 국민대 조형관에서 만난 주다영 AI디자인학과 교수는 AI디자인학과를 2022년 신설한 이유를 이 같이 설명했다. 최근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디자이너가 활용할 수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얻고자 하지요. 이처럼 수학의 많은 개념 중에서는 우리 생활에서 함수가 차지하는
역할
이 상당히 커요. 인문학적 관점에서 함수가 남긴 의미를 이야기해볼게요. 함수를 도입하고 난 뒤 사람들은 특정한 개체 및 단독 개념만 탐구하기보다는 두 개체 및 두 개념 사이의 관계를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 ...
[만화뉴스] ‘키아누 리브스’처럼 강하다! 새로운 항균물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키아누마이신’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영화 에서 악당을 제거하는 킬러
역할
을 맡은 배우 키아누 리브스의 이름을 따왔지요. 키아누마이신은 흙이나 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슈도모나스 균에서 발견됐어요. 실험 결과, 키아누마이신은 인간과 식물에 해로운 곰팡이를 모두 효과적으로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밝아서 은하 전체를 살펴보기 좋습니다. 그래서 우주와 은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어요. 허블 우주망원경이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이용하면 은하 내부에 있는 천체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답니다☞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에서 ‘이달의 천체’를 확인할 수 있다 http://m.site.naver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구현했습니다. 제 기대 이상이었죠. 학생들에 잠재된 창의력을 끌어내는 교사의
역할
을 생각하게 된 수업이었습니다. 과학중점학교를 운영하며 전주시와의 MOU를 통해 전주시의 정책 결정에 학생들의 자율 연구를 활용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했습니다. 특히 전주시의 버스 노선을 조사해서 불편한 ... ...
[과학뉴스] 물고기의 특별한 GPS 세포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경우 주변 환경을 탐지할 때 몸 안의 위성항법장치(GPS)라 불리는 ‘장소 세포’가 중요한
역할
을 한다. 장소 세포는 특정 장소를 기억할 때 활성화되는 뇌 신경세포다. 연구팀이 뇌 모니터링을 통해 살펴본 결과, 어류의 뇌에서는 장소 세포 특유의 신호를 찾기 힘들었다. 대신 금붕어의 뇌에서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