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어요. 최제민 교수는 “자가 면역 질환에서의 방관자 T 세포 역할을 밝히면 신약 개발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고, 완치도 가능하다”며 “다른 자가 면역 질환도 방관자 T 세포의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토론 2. 챗GPT, 미래에 든든한 조력자일까?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생각해볼게요. ‘챗GPT가 미래에 거짓 정보 확산 역할을 할 것인지, 든든한 조력자 역할을 할 것인지’이잖아요? 그런데 인터넷이 가진 단점과 챗GPT의 단점이 비슷하니 두드러지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오히려 인터넷과 함께 미래에 거짓 정보를 확산하는 데 일조하지 않을까요? 두 개를 구분 짓지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가져야 할 시사점을 주는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은 기하학의 훌륭한 교과서 역할을 했지만, 어떤 의미에선 마치 전제 군주처럼 2000년 동안 기하학적 공간에 대한 사고를 얽매고 있었다고 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비록 우리가 유클리드 기하학이 왜 서구 문명을 지배해왔느냐로 이야기를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관측을 통해 블랙홀 중심부의 부착원반에서 나온 빛이 주변 고리구조를 만드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이전 관측에서 보지 못한 3.5mm 파장대의 고리구조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뒀다. 박종호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어떤 방식으로 흡수하고, 그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핵산 물질(miRNA) 등을 분비합니다. 이런 물질은 근육을 재생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죠. 세드릭 드레이 프랑스 폴사바티에대 박사팀은 운동을 할 때 증가하는 ‘아펠린’이라는 단백질이 노화성 근감소증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91-018-0131-6 물론 ... ...
- [킹앤유] 대칭 다항식을 조립하자! 영 타블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수학적 구조에 대해 생각하다 수학을 좋아하게 됐어요. 오늘의 문제는 브릭 블록의 역할을 하는 ‘대칭 다항식’을 조립해 모든 대칭 다항식을 표현해보는 겁니다. 암기 위주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 모두에게 낯설지만, 그렇기에 모두가 도전할 수 있는 주제로 문제를 만들었어요. 어려워도 한번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 편집자 주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코너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지켜봐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립니다. 연재는 끝났지만 이과에 ... 챗GPT와 같은 기술은 기자의 역할을 대체하지 않고, 보완하는 데에 그치며, 기자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과학 분야가 협력과 경쟁을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역할을 다하며 세상을 바꿀 새로운 재료를 탄생시킬 수 있길 바라며 6개월간 이끌어온 ‘초(超)재료’ 연재를 마친다. ※ 편집자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초(超)재료’ 연재를 마칩니다. 애독해 주신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최적값으로 이 거대한 설비를 제어해서 더 효율적인 공장을 만드는 것이 스마트팩토리의 역할 중 하나죠. 물리적인 설비와 디지털 정보를 엮는 일은 마치 구슬 서 말을 꿰어 보배로 만드는 일 같아서 매력적이었어요. 이후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해보고 싶어서 큰 제조사로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MHC를 갖고 있어요. 그래서 다른 쥐에게 같은 킬러 T 세포를 주입해도 킬러 T 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거지요. 도허티와 칭커나겔의 연구는 킬러 T 세포의 특이성을 발견한 첫 사례였어요.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그에 맞는 킬러 T 세포만 활성화되는 현상을 ‘면역의 특이성’이라고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