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마쿠흐 교수가 이끄는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
물리학 연구소팀은 국제학술지 ‘
천체
생물학’에 생명체가 번성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최대한 번성하려면 현재 지구 평균보다 5℃가량 높아야 합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약 14℃이므로 20℃ 정도의 행성이 ... ...
[과학뉴스]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6억 7000만 년 후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블랙홀이라는 것을 의미하죠.J0313-1806의 발견은
천체
물리학자들에게는 새로운 고민거리예요. 우주 탄생 초기에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만들어진 이유를 설명할 수 없거든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큰 별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경우, 또는 빽빽하게 모여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관측된 물질분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세페이드형 변광성, Ia형 초신성 등 다양한
천체
를 통해 측정한 주변 은하들의 3차원 위치 정보로 가상 우주의 초기 조건을 만들죠. 이렇게 만든 초기 가상 우주를 현재까지 진화시켰을 때 우리가 관측한 정보가 모두 재현되면 과거 물질분포를 정확히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근처의 외계행성 K2-18b 대기에서 물의 존재를 찾아내 2019년 ‘네이처 천문학’(9월)과 ‘
천체
물리학 저널 레터스’(12월)에 각각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50-019-0878-9, doi: 10.3847/2041-8213/ab59dc 물론 K2-18b는 질량이 지구의 9배이고 크기도 2배나 되기 때문에 지구와는 환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ISS)처럼 사람을 태우고 지구 주위를 도는 유인인공위성도 있지만 사람 없이
천체
를 관측하며 수집한 데이터만을 지구로 보내는 무인인공위성이 많습니다. 무인인공위성은 한 번 쏘아 올려 적당한 궤도 위에 안착시키면 별다른 조종을 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궤도를 유지하면서 지구를 관찰하죠. 그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942년 미국의 SF 작가 잭 윌리엄스의 소설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다. 지구가 아닌
천체
에 지구 환경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1961년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테라포밍을 진지한 연구주제로 삼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금성 대기에 광합성을 하는 조류를 뿌려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특정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연주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
물리학센터 EU연구원은 “안테나에 수신된 스펙트럼에서 무엇이 물질에 대한 신호이고, 무엇이 노이즈인지 제대로 구분해내지 못했다는 뜻”이라며 “현재는 금성 대기에 포스핀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빠르게 자전을 하는 소행성이에요.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1998 KY26 소행성을 미스터리한
천체
로 여기고 있어요. 하야부사 2호는 1998 KY26 소행성을 직접 탐사하여 이 소행성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또 고속 회전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찾고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생각되는 요르프 효과*에 ... ...
[과학뉴스] 우주 전체 촬영하는 ‘스피어x’ 천문연·NASA 공동 제작 돌입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102개의 색깔로 세밀하게 관측해 이 정보들로 우주에 존재하는 20억 개에 달하는 개별
천체
들의 분광 목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피어x는 2024년 발사될 예정이다. 스피어x 한국 연구책임자인 정웅섭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과거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과학탑재체인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UST) 천문우주과학 전공 박사과정 연구원의 경우, 국제학술지 ‘
천체
물리학 저널’에 투고한 논문이 지도교수의 프로시딩(학술대회 보고서)과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표절로 판명된 사례가 있다.논문 유사도 검사 수치가 낮다고 해서 무조건 표절이 아니라고 단정 지을 수도 없다. 유사도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