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4호
엑스선 지도를 7개 더 제작하고 이를 모두 합쳐 지금은 발견하지 못한 더 어두운 엑스선
천체
도 찾아낼 예정이에요. 이를 통해 은하들의 위치와 우주 팽창의 원인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이달의 과학사] 펜지어스와 윌슨, ‘우주배경복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전파망원경에 기록되는 잡음을 발견했어요. 정밀한
천체
관측을 하고 싶었던 펜지어스와 윌슨은 잡음을 없애기 위해 거대한 전파망원경을 모두 분해했다가 다시 조립했어요. 부품도 새로 교체했고요. 심지어는 안테나에 둥지를 튼 비둘기를 쫓아내고 똥까지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될 수 있어. 두더지가 성공적인 활동을 하도록 함께 응원해줘! 용어정리*측지학 :
천체
의 크기, 형상 등을 정밀하게 탐구하는 학문.*열전도율 : 물체가 열을 전달하는 정도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목성 트로이군에 있는 7개의 소행성을 포함해 총 8개의
천체
를 관측하는 탐사선 ‘루시(Lucy)’를 2021년 10월 발사할 계획이다. NASA는 또 소행성의 지구 충돌에 대비해 소행성에 물리적 충격을 가해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쌍소행성 궤도 수정 시험(DART)’ 프로젝트를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릴, 블랙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어원을 추적한 끝에 미국 물리학자 로버트 딕을 꼽았어요. 딕은 1960년쯤 이
천체
가 사람이 살아나올 수 없기로 악명 높은 감옥 ‘캘커타의 블랙홀’과 비슷하다고 비유했답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같은 곳에서 태어나지요. 성간 물질 가까운 곳에서 초신성이 폭발하거나 무거운
천체
가 지나가면, 그 충격으로 성간 물질이 서로 섞여요. 이때 성간 물질 밀도가 높은 부분의 중력이 커져 다른 성간 물질을 끌어당겨요. 그 결과 생긴 커다란 성간 물질 덩어리가 수축하면서 온도가 오르기 시작해요.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가지면 슈퍼플레어라 부른다. 연구팀은 이를 분석하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천체
면 통과 외계행성 탐색 위성(TESS·테스)’이 보내온 중심별의 플레어 방출 데이터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의 플레어 방출 후 외계행성의 대기 입자가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계산했다. 그 결과,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금환일식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번에 뜨는 달의 크기가 작기 때문이랍니다. ●이달의
천체
사진 이 사진은 ‘바람개비 은하(M101)’의 모습이에요. 큰곰자리에 있는 은하로 지구에서 2100광년 떨어져 있지요.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메셍이 1781년 3월 27일에 처음으로 발견했어요. 그리고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가 증가하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수많은 인공위성 아래서도
천체
를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스타링크와 프로젝트 카이퍼가 야기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는 인공위성의 충돌이다. 현재 지구 주변에는 2만 개가 넘는 인공우주물체가 떠다니고 ... ...
[과학뉴스] 태양, 어떻게 태어났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어떻게 태어났을까요? 지난 5월 25일, 스페인 카나리아
천체
물리학연구소(IAC) 토마스 루이스 라라 박사팀은 태양이 ‘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와 우리은하가 충돌해 생겼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궁수자리 왜소타원은하는 우리은하 질량의 1만 분의 1 정도로 작은 위성은하예요. 말 그대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