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덩어리"(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심할때 하면 좋은 보드게임을 추천해드립니다~!!기사 l20170625
- 이 게임을 하는 방법은 1,각자 카드를 하나씩 가져간다. (그건 동시에 개방해야 하므로 뒤집어 둡니다. 2, 가운데에 남은 카드 덩어리를 둡니다. (그건 그림이 보이게 위의 사진처럼 둡니다.) 3,그리고 하나, 둘, 셋 하면 각자 자기 카드를 개봉한 후 자기 카드와 가운데 카드에 똑같은 카드가 있으면 00!! 라고 외치면서 그 카드를 가져갑니 ...
- 연필그림!포스팅 l20170509
- 4B가 아닌 연필로 그리는 건 오랜만이에요!옆의 덩어리가 가장 잘 그린 듯 한건 기분 탓이라고 생각하죠! ...
- (수원해피데이)20170409ㅡ2탐사기록 l20170409
- 노란 민들레에 꿀벌이 꽃가루를 묻혀가며 왔다갔다 날아다니는 모습입니다. 양쪽 다리에 주황색 꽃가루덩어리같은 것들이 붙어있는게 너무 신기합니다. ...
- 에펠탑 효과와 앵커링 효과기사 l20170326
- 올라가는 효과입니다. 에펠탑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원래 파리 사람들은 에펠탑을' 예술의 도시 파리에 어울리지 않는 철골 덩어리'라며 싫어했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20년만 세우기로 했지만 라디오 안테나의 역할을 해주며 계속 세울 수 있게 되었고 파리 사람들이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앵커링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앵커링 효과란 닻내 ...
- 8번째 신대륙, 질랜디아기사 l20170325
- 질랜디아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질랜디아는 오세아니아 주변에 있는 거대한 땅덩어리입니다. 오세아니아 주변에 거대한 땅덩어리가 없다고요? 질랜디아는 오세아니아처럼 일곱 개의 대륙과는 달리 바다 밑에 잠긴 대륙입니다. 크기는 한반도의 22배로 오세아니아의 3분의 2입니다. 질랜디아의 94%는 바닥에 잠겨있습니다. 이런 질랜디아를 대륙이 ...
- 구름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170119
- 10. 적운(쌘구름) 적운은 뚜렷한 경계를 가지고 서로 분리 되어있는 구름덩어리들이 수직으로 발달하면서 마치 둥근 봉우리나 지붕 모양을 합니다. 이 구름의 상부는 솟아올라 양배추와 같은 모양으로 될 때가 있습니다.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상부는 밝은 흰색을 띄면서 빛나보이지만 바닥부분은 어두운 색을 띄며 지표면과 거의 수평하게 나타납니다. ...
- DNA 추출실험(부로콜리)포스팅 l20170117
- 성공인가요??(덩어리 보이세요?) ...
- 겨울의 상징 중 하나, 눈기사 l20161124
- 바로 '눈'입니다. 이렇게 눈의 생성을 설명하는 학설을 '빙정설'이라고 합니다. 자 그럼 정리를 해 보도록 하죠. - 구름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서 주변의 낮은 기압 때문에 부피가 팽창하는 단열 팽창으로 온도가 낮아지다 수증기가 응결하는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구름이 생성됨. - 눈 : 구름이 생긴 후, 0℃에서 -40℃의 구름에는 빙 ...
- 내가 제일 좋아하는 귀염둥이 돌고래, 벨루가기사 l20161115
- 베링해, 북극해, 오호츠크해처럼 추운 곳에 살기 때문에 두꺼운 지방층이 있습니다. 그야말로 기름 덩어리이죠. 범고래는 이런 기름덩어리 돌고래를 매우 좋아합니다. 그래서 범고래에게 먹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벨루가들은 너무 뚱뚱해서 도망도 못 치고 먹힌다고 하네요. 벨루가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엔젤링! 아래 사진입니다. ...
- 낙동강의 흰수염난쟁이~탐사기록 l20161110
- 없습니다.하지만 실험실에서 인공수정을 통한 연구에 따르면 알은 비슷한 종류의 어류에 비해 훨씬 크기가 훨씬 작고 덩어리 형태로 이루고 있습니다.보통 4~5월에는 2~3년생 성어를 보게 되고 장마가 시작된 여름 이후에는 1~2cm 치어들을 볼 수 있으며 겨울에는 성어와 치어가 섞여 본 하천에서 월동을 합니다.그러나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