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뉴스
"
나비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포드 교수는 투트의 가설을 증명해보기로 하고 의사이자 열정적인 아마추어 인시류(
나비
와 나방) 연구가였던 버나트 케틀웰에게 이 임무를 맡겼고 케틀웰은 1953년 7월 그 유명한 나방실험을 진행했다. 케틀웰은 날개 밑면에 표시를 한, 밝은 색 수컷 얼룩나방 137마리와 검은색 수컷 얼룩나방 44 ... ...
민주주의 꽃, 투표는 누구를 위한 디자인인가
2016.05.04
되어 있었다. 2000년 대선 당시 팜비치 카운티에서 쓰인 투표 용지 - Anthony(W) 제공 소위
나비
(butterfly)형 이라 불렸던 이 투표 용지를 잘 살펴보자. 1번 후보인 조시 부시에게 투표 하려면 용지 가운데의 첫 번째 구멍을 택하면 된다. 그러면 2번 후보인 앨 고어를 찍으려면 두 번째 구멍을 택하면 ... ...
별의 속살 vs 별의 시체
2016.04.28
보였기 때문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의 고해상도 사진으로 보면 이 성운의 이름은 ‘
나비
넥타이성운’이 어울릴 것 같다. 1998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부메랑성운. 차가운 이 천체는 온도가 영하 272℃로 우주에서 가장 낮다. 부메랑성운은 태양 같은 별이 죽어가는 마지막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
2016.04.15
마지막까지 움직일 수 있는 유일한 신체 부위가 눈이다. 2008년 개봉한 영화 ‘잠수종과
나비
’의 주인공은 갑자기 찾아온 뇌중풍(뇌졸중)으로 전신이 마비되자 도우미가 원하는 알파벳을 가리킬 때마다 눈을 깜빡거리며 의사소통한다. 현재 눈동자의 움직임을 카메라로 인식하는 ‘눈동자 ... ...
거미는 곤충만 먹는다는 편견을 버려!!
2016.04.14
제공 일반적으로 ‘거미’ 하면 나뭇가지 사이로 거미줄을 치고 그것에 걸려든
나비
나 나방 같은 곤충을 잡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스위스 및 호주의 동물학자들이 “물고기를 잡아 먹는 거미가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플로스원(PLoS ONE, 미국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에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
2016.04.13
우주 개척의 위대한 도약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호킹과 밀너는 “마치 날개를 편
나비
떼가 날아가는 광경이 연출될 수 있다”며 탐사 개념도를 소개했다. 초소형 우주선을 수천 개나 쏘는 이유는 우주 먼지에 부딪혀 파괴되는 등의 이유로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지구상에서 ... ...
블리자드 신작 ‘오버워치’와 AI(인공지능)에 대한 단상
2016.04.10
의 오마주라 할 수 있는 게임 캐릭터 로봇 수도승 ‘젠야타’를 소개한다. “꿈에서 나는
나비
였소”라는 대사를 던지는 젠야타는 영혼의 존재를 믿고,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를 꿈꾼다. 그리고 그는 과거 인간이었던 사이보그 ‘겐지’의 정신적인 스승이 된다. 겐지는 인간 시절 큰 부상을 ... ...
‘제2의 브뤼셀 테러’ 막아라, 폭발물 감지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6.04.01
않는다. 이 때문에 사람보다 후각 능력이 뛰어난 탐지견이 투입된다. 최근에는 꿀벌,
나비
등을 훈련시키는 방법도 제안됐지만 이들의 행동을 완벽히 제어할 수 없어 실현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미국 북서태평양국립연구소 연구진이 개발한 전자코는 18종의 폭발물질의 냄새를 감지하는 데 ... ...
태평양을 건너, 인도양을 건너…된장잠자리의 비행
2016.03.03
태평양을 건너 7000㎞ 이상 날아가는 된장잠자리가 약 4000㎞를 이동하는 ‘모나크
나비
’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멀리 나는 곤충이라고 설명했다. 웨어 교수는 “동일한 지역에 서식하는 된장잠자리끼리 교배했다면 서로 다른 유전형질이 나타나야 하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이는 잠자리가 ... ...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6.02.09
흘러내린다. - 수학동아 제공 타운센드는 점성을 가진 흐르는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나비
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이 원리를 설명했습니다. 그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주요 원인은 표면장력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유럽물리학회지’ 2015년 11월 25일자에 실렸습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